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종인(77)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가 주요 후보들의 경제 공약에 혹평을 내렸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의 ‘가계부채 총량관리제’ 등 공약에는 “말로는 쉽다”며 실현가능성을 낮게 봤다.
김 전 대표는 6일 오후 여의도 대하빌딩에서 저서 <결국 다시 경제민주화다>의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김 전 대표는 가계부채 대책과 문 후보의 가계부채 총량관리제 관련 의견을 묻는 질문에 “말로는 쉽다”면서 “어떻게 하겠다 하는 일관적인 (방법을) 얘기하는 건 옳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어 “경제성장을 빙자해 주택경기를 활용 않겠다는 확신을 갖지 않는 이상 가계부채를 적당히 유지하겠다는 건 (문제를) 그 순간만 극복하겠다는 수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지난달 1344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 관련 대선 공약으로 가계부채 총량 관리제를 내세운 바 있다. 문 후보는 대부업 이자율 상한선을 20%로 단일화하고 총부채상환비율(DTI) 대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여신 관리 지표로 활용하는 등 7가지 방안을 세부 대책으로 내놨다.
김 전 대표는 문 후보의 또다른 경제공약인 ‘공공일자리 81만개 창출’ 역시 비판적으로 봤다. 김 전 대표는 “(공공일자리에) 월급을 주려면 재원을 확보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세금 부담을 늘리는 수밖에 없다”면서 “‘증세없는 복지는 없다’는 말처럼 재정 부담이 늘어나면 결국 국민 부담을 늘리지 않고선 힘들다”고 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공약에는 다소 유보적이었다. 김 전 대표는 안 후보가 내놓은 ‘재벌기업 근로자 추천이사 도입’ 공약에는 “내가 2012년 대선 당시 다 얘기한 것”이라면서 “말과 행동이 일치할지 두고봐야 한다”고 평했다.
전날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 전 대표는 정작 자신의 구체적인 경제공약을 내놓지는 않은 상태다. 이날도 김 전 대표는 대선후보로서 분야별 공약을 발표할지를 묻는 질문에 “남이 만들어주는 얘기 가지고 발표하진 않을 것”이라며 입을 닫았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