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투표소 인권영향 전수조사…양기대 시장 “참정권 침해당하는 일 없도록 하겠다”

입력 2017-04-06 10:56

경기도 광명시는 장애인·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관내 투표소에 대한 인권영향 전수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제19대 대통령선거(5월 9일)를 앞두고 사전투표소 18곳과 투표소 83곳 등 101곳이 대상이다.

 시 인권위원, 시민위원 등 128명으로 구성된 투표소 인권영향평가단이 현장을 방문해 조사한다.

 시에 따르면 각 투표소의 장애인 이동권 등 인권침해 요소를 확인하고 개선하겠다.

 주요점검 사항은 ▲사회적 약자 투표소 이동 편의성 ▲투표소 건물 입구 경사로 적정성 ▲투표소 출입문 및 이동 통로, 장애인 화장실 ▲안내요원 배치여부 등이다.

 평가단은 투표관리관 83명, 동 주민센터 직원(선거 간사·서기 등) 16명, 광명시 인권위원 15명, 시민위원 10명, 광명시민인권센터 직원 4명으로 구성됐다.

 시는 전수조사를 위해 투표소 인권영향평가단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지난 3일부터 13일까지 투표소를 관할하는 동 주민센터 직원을 통해 1차 전수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 투표소에 대해 인권위원과 시민위원들이 2차 조사를 실시한다.

 이어 선거 전날인 8일 투표소가 설치된 후에 3차로 투표관리관, 인권위원, 시민위원들이 최종 점검을 마친다.

 광명시는 이 점검결과를 광명시선거관리위원회에 통보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해 향후 선거에 반영되도록 할 계획이다.

 양기대 시장은 “철저한 조사와 후속조치를 통해 투표소까지 접근이 어려워 참정권이 침해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이번 선거 뿐 아니라 앞으로도 사회적 약자의 참정권 보장에 관해 더욱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광명=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