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미국 비자를 받으려면 스마트폰 통화내역을 보여주고 SNS 비밀번호를 알려줘야 할 듯하다. 인터뷰도 더욱 까다로워질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4일(현지시간) 미국 국토안보부가 테러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비자 심사 절차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검토 중인 강화 조치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비자면제국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국토안보부 수석 고문인 젠 해밀턴은 “미국에 오려는 의도를 의심받는 사람은 정당한 이유로 들어온다는 점을 충분히 입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수 이슬람국가 출신자의 입국을 사실상 금지한 ‘반이민 행정명령’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비자면제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38개국뿐 아니라 영국 일본 호주 등 미국 동맹국도 적용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다.
가장 큰 변화는 비자 신청자들에게 휴대전화를 제출받아 저장된 연락처와 기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해밀턴은 “누구와 연락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표다. 전화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비자 신청자의 소셜미디어 비밀번호를 넘겨받아 공개된 게시물뿐 아니라 친구들만 볼 수 있는 비공개 내용까지 들여다보고 성향을 판단해 입국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비자 인터뷰 질문도 깐깐해진다.
앞서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각국 주재 대사관에 공문을 보내 비자 신청자들이 지난 5년 동안 사용한 모든 이메일 주소와 소셜 미디어 정보, 지난 15년 동안의 여행 기록과 고용기록 등을 확인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