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9월 발생한 국방 전산망 해킹 사건 당시 군사기밀인 전시 작전계획까지 유출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당시 국방부는 북한 소행으로 추정했다. 결국 북한에 의해 전지 작전계획이 해킹 당한 셈이다. 그러나 국방부는 심각한 유출은 아니라는 입장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YTN은 국방부를 인용해 지난해 군 내부망 해킹 사건 당시 전시 사령부인 합동참모본부와 한미연합사령부까지 사이버 공격에 뚫렸다고 4일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2급 군사 기밀에 해당한 한미 양국 군의 전시 작전계획까지 유출됐다고 매체는 전했다.
당시 군 당국은 군검찰과 기무사, 국정원 등이 참가하는 합동수사단을 꾸려 특별 수사에 나섰다. 수사결과 해킹은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된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이후 일각에선 작전계획 5027이 유출됐다는 말이 돌았다. 작전계획 5027은 지난 2015년, 5015로 대체됐지만 한반도 유사시 미군 증원 전력의 규모와 전술 운용 등의 핵심 개념은 고스란히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 당국은 지난해 12월 국회에서 심각한 수준의 기물유출은 없다고 보고했다. 당시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비밀 자료가 있지만 그렇게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받았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군 간부와 민간 업체 직원 40여 명으로 수사망을 좁혀 조사를 마무리하고,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 엄중 처벌하겠다는 계획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