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조사위 "인양 준비부족, 해외기관 의뢰 추진 중”

입력 2017-04-03 09:19
세월호 선체가 1일 오전 전남 목포시 목포신항만에 입항해 반잠수선에 실려있다. 뉴시스

김창준 세월호선체조사위원장이 “선체 절단은 최후의 보루로 공정한 검증을 위해 해외 전문 기관에 의뢰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3일 tbs 교통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지난 금요일(31일) 해양수산부를 만나 세월호 수색 방식을 두고 의견을 나눴다"며 "유해발굴 전문가 투입과 동영상 촬영, 선박 내 갯벌 제거 시 위치 마크 등 선체 수색에 대한 여러 가지 제안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해수부와 의견을 나누면서 자체적으로 준비가 잘 돼있지 않다고 생각했다"며 "다행히 조사위의 제안은 대부분 수용됐다"고 전했다.

안전한 선체 조사를 위해 선체를 절단해야 한다는 해수부의 주장에 대해서는 "선체를 살펴 본 결과 절단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일부 절단을 하더라도 진입로 확보 후 진행하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선체 절단은 조사위의 기본 목적인 진상 규명에 어긋나는 일"이라며 "절단하는 과정에서 유골 훼손의 가능성이 있다. 절단은 대안을 충분히 고려한 후 최후의 순간에 결정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세월호를 3등분한다는 정부의 방침에 조사위는 동의할 수 없다"며 "그럼에도 강행한다면 고발을 진행할 것이다. 상식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려는 되지만 정부가 강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조사위의 조사 범위는 선체로 한정돼 권한이 매우 제한적이다. 조사위가 기존의 보고서를 재점검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든다"며 "보다 명확한 조사를 위해 해외 전문 기관에 의뢰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