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합동 총회실행위, 총신대 재단이사회 정상화 집중 논의

입력 2017-03-30 14:43
김선규 예장합동 총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총회회관에서 열린 '제101회기 제1차 총회실행위원회'를 진행하고 있다. 강민석 선임기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총회장 김선규 목사)은 30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총회회관에서 ‘제101회기 제1차 총회실행위원회’를 갖고 총신대 재단이사회 정상화 과정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실행위에선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총신대 재단이사회의 개회, 일반이사 및 개방이사 선임 시도, 총회 측과 총신대 측의 입장 차이, 교육부의 이사 승인 현황 등에 대한 보고가 진행됐다. 실행위원들은 재단이사 후보 선정 및 선임 과정에서 지역안배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점, 총신대 측과의 원만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채 갈등이 지속돼 온 점 등을 지적했다. 총회 임원회가 사태해결을 위해 지난 15일 조직한 총신대책위원회(위원장 서현수 목사)의 역할론에 대해서도 논쟁이 이어졌다. 김선규 총회장은 “보고를 그대로 받되 현재 5인으로 구성된 대책위에 전문위원을 영입해 원만한 해결방안을 도출해 나가자”고 제안했고 위원들은 이에 동의했다.

한편 총신대 개방이사추천위원회(위원장 허활민 목사)는 29일 가진 회의에서 개방이사 후보 6인을 추천하고 명단을 총신대 재단이사회(이사장 직무대행 안명환 목사)에 통보했다. 재단이사회가 추천된 후보자 중 3인을 선임하면 그동안 교육부로부터 긴급처리권을 받아 재단이사직을 수행해 온 김영우 안명환 이기창 목사의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이에 앞서 총신대 교수협의회는 지난 23일 성명을 발표하고 “김영우 총장이 학교를 지도 감독하는 총회의 뜻을 무시한 채 자신을 지지하는 인사들로 재단이사진을 구성하려 했다”며 “지난달 23일 교육부가 취임을 승인한 5인의 총신대 재단이사를 인정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실행위에선 예장합동 교단지인 기독신문의 폐간관련 진행 경과, 한교총과 한기총 등 연합단체 가입 추진 총회결의 이행, 총교개혁 500주년 관련사업 추진 경과가 보고 됐다. 지난해 9월 제101회 총회에서 신설된 총무 선정 및 해임(총회규칙 제3장 제12조)에 관한 선거 세칙 마련에 대해선 “실행위원회가 아닌 선거관리위원회에서 다뤄야 할 안건”이라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각하하기로 했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