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모든 부서에 젠더(성)책임관과 담당자가 지정되고 산하 투자·출연기관의 여성 비상임이사와 시 위원회 여성위원의 비율은 각각 40%이상으로 확대된다.
서울시는 성평등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성인지 강화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민선 5,6기 들어 지자체 최초로 성평등 위원회 운영, 젠더전문관 및 젠더정책팀 신설, 성인지 예산 증액 등을 시도했지만 시 공무원들부터 성인지 감수성을 체화해야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고 보고 조직‧제도‧교육 등 시정 전반에서 성인지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5월 중 31개(1실 9본부 8국 13관) 시 전 부서와 3개 사업본부, 44개 사업소에 총 270명의 젠더책임관·젠더담당자를 지정할 계획이다. 또 서울시 젠더업무를 총괄하는 젠더자문관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서울시 성평등 기본조례’에 운영 근거를 신설하기로 했다.
주요 정책을 심의·결정하는 160개 서울시 위원회의 여성위원 비율도 모두 40% 이상으로 늘린다. 현재 68개 위원회가 여성위원 비율이 40%를 밑돈다.
시 산하 21개 투자출연기관의 여성 비상임이사 비율(22.2%)도 40%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5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20.8%)도 여성 승진목표제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부서별 성인지예산 목표제도 추진해 부서 전체 예산의 일정비율은 성인지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예산편성과 집행과정에서 성별로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재원의 성차별적 배분을 시정하고 성별구분 없이 시민들이 평등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올해 시정핵심 3대분야인 복지, 안전, 일자리 분야의 성인지를 강화하고 전 분야로 확대하기로 했다. 3대 분야 부시장 이상이 결재하는 사업에 대해선 사전에 젠더자문관 협조결재가 의무적으로 이뤄지도록 시스템을 반영하고, 성별영향분석평가도 강화해 내실을 다질 방침이다.
젠더전담직원, 간부직 공무원, 시정3대 핵심분야(복지‧안전‧일자리) 담당 직원 등에 대해서는 성인지교육을 집중 실시하고 실제 업무에 적용 가능한 ‘젠더 10계명’도 오는 10월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또 성인지관점 반영 우수사례 발표회를 개최해 성별영향분석평가, 성별분리통계, 성인지예산 등 우수사례를 선정,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직원들과 공유하도할 계획이다.
시는 직원 6763명(본청 898, 사업소 1054, 자치구 4820명)에 대해 지난 2~12일 전자설문조사한 결과, 성인지 정책 관련 용어 인지정도는 전체평균 2.49점(5점 기준)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을 성평등한 도시’라고 생각하는 공무원은 69.3%였다. 성인지 정책을 실효성있게 실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41.4%가 ‘성인지력 향상 교육’을, 33.9%가 ‘부서장의 의지와 지원’을 꼽았다.
엄규숙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올해 조직, 제도, 교육 등 시 전반에 걸친 성인지 강화를 통해 직원들은 물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평등 도시 서울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시 모든 부서에 젠더책임관·담당관 지정, 투자출연기관 여성비상임이사 40%이상으로
입력 2017-03-29 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