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테마주? 이젠 정책테마주!…테마주 전성시대

입력 2017-03-27 16:52

‘일자리 테마주’ ‘4차 산업혁명 관련주’ ‘4대강 복원 테마주’….

‘테마주 전성시대’라 부를 만하다. 주식시장이 대선을 앞두고 각종 테마주로 한껏 뜨거워졌다. 금융당국이 ‘정치인 테마주’을 집중 감시하자 이번엔 ‘정책테마주’가 등장했다. ‘유력 대선주자와 친분이 있다더라’는 식의 인맥과 소문에 뿌리를 둔 정치인테마주와 달리 정책테마주는 대선후보들의 공약과 연결돼 있다. 특정 정책에 따라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이 연일 등락할 거듭한다. 최근 들어 정책테마주의 주가변동 폭이 한층 더 커졌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3일 정책테마주의 주가변동률은 16.7%로 정치인 테마주(16.4%)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시장지수 평균 변동률(3.3%)의 5.1배나 된다. 지난 10일 대통령 탄핵이 결정된 이후 정치인테마주의 주가변동률(2.1%)은 시장지수 평균(1.9%)과 엇비슷해졌다. 반면 정책테마주는 10.5%로 변동률이 확대됐다.

금감원은 특별한 이유 없이 주가가 급등하거나 거래가 급증하는 정책테마주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일자리 창출, 4차 산업혁명, 출산 장려, 4대강 복원을 대표적인 정책 테마로 지목했다. 새롭게 생성되는 정책테마주도 정책과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등 불공정거래 소지를 사전 차단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현재 정치인 테마주 10개 종목을 조사하고 있다. 정책테마주의 매매동향도 분석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2년 대선 때 정치적 이슈가 점차 소멸하면서 테마주들의 주가가 하락한 사례가 많았다”고 강조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