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온상으로 지목된 문화창조융합본부가 폐지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 문화창조융합본부의 업무를 한국콘텐츠진흥원(콘진원)으로 이관하고 늦어도 31일까지 조직을 폐지한다고 27일 밝혔다. 문체부는 지난해 국정농단 비리가 밝혀지면서 연말부터 문화창조융합본부 사업을 단계적으로 축소해왔다. 남은 업무는 콘진원으로 이관되며 본부에 남아있던 20여명은 문체부와 콘진원으로 복귀한다.
다만 융합벨트 사업의 하나였던 문화창조벤처단지와 문화창조아카데미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거점으로 활용된다. 문체부 관계자는 “지난주 외부 기관을 선정해 정책연구용역 과제를 발주했다”며 “상반기 중 연구결과가 나오는 대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실행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화창조벤처단지는 지난 1월 ‘콘텐츠코리아랩(CKL) 기업지원센터’로 이름을 바꿨다. 현재 입주한 42개 기업과의 계약이 종료되면 내년부터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유망 콘텐츠 분야 기업을 육성하는 스타트업(신생기업) 거점으로 전환된다. 문화창조아카데미는 4월 초 서울 홍릉 산업연구원 건물로 이전한다. 이후 ‘콘텐츠인재캠퍼스’(가칭)으로 개편해 콘텐츠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게 된다.
융합벨트 거점 중 민간 주도로 진행해온 문화창조융합센터와 K-컬처밸리(이상 CJ), K-익스피리언스(대한항공)는 해당 기업들의 자율에 맡긴 상태다.
CJ E&M이 서울 상암동 본사에 개설한 문화창조융합센터는 지난해 12월 지원사업 공모 뒤로 활동을 중단한 채 개편방안을 준비중이다. 그리고 CJ 컨소시엄이 경기도 고양시 약 30만㎡(9만1000평) 부지에 총 1조40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조성하는 복합 문화공간인 K-컬처밸리는 지난해 8월 착공한 공연장만 현재 1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나머지 테마파크, 호텔, 상업시설은 설계 단계로 올 하반기 착공해 2020년 전체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한항공이 서울 경복궁 인근의 옛 미국 대사관 숙소 부지에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K-익스피리언스는 아직 착공 전이다. 대한항공은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이지만 특혜 논란이 다시 한번 일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그동안 호텔을 뺜뺀 채 복합문화공간을 건립한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시설 용도 변경이 추진될 것으로 보고 있다.
문화창조융합벨트는 박근혜 정부의 ‘문화융성’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사업으로 2015년 2월 시작돼 2019년까지 7000억원대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국정농단이 드러나면서 사업이 전면 축소됐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