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원도심 저층주택 노후화 심각 대책필요

입력 2017-03-26 12:43
인천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이왕기 선임연구위원은 ‘인천 원도심 저층주택의 노후화 실태와 대응방향’ 연구보고서 발표를 통해 심각한 도시문제를 막기위해서는 저층주거지 관리사업이 필요하다고 26일 밝혔다.
2040년 인천시 저층주택 노후도 전망. 인천발전연구원 제공


연구결과 인천시 저층주택 중 단독주택의 현재 노후도는 52.1%로 서울시나 5대 광역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주택호수를 기준으로 전망한 인천의 저층주택 노후도는 2015년 18.6%에서 2040년에는 59.6%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천시의 경우 부산이나 대구 등 지방 대도시에서처럼 도시의 쇠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인천의 원도심지역인 중구, 동구, 남구, 부평구에서 저층주택 노후도는 물론 면적대비 노후도가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인천은 경제자유구역과 검단신도시 등 대규모 신도시개발 물량이 큰 규모로 남아있기 때문에 기성시가지 토지수요는 낮을 수밖에 없어 원도심 노후 저층주거지의 경우 현재의 노후상태가 지속됨에 따른 쇠퇴의 우려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저층 주거지의 슬럼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후화된 개별 건축물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위원은 “기성시가지의 주된 관심대상이었던 전면철거방식에서 벗어나 개별 건축물 및 필지단위 정비방식과 인접한 필지와의 소규모 공동정비가 필요하다”며 “새로운 정책 대응방향으로서 개별 저층 노후주택 단위의 정비방향을 모색해야할 때”라고 역설했다.

이와 관련, 이 연구위원은 “저층 노후주택 정비의 주체인 주민의 주도적 참여 유도를 위한 정책 연계방안이 필요하다”면서 “인천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층주거지 관리사업은 주민참여 가능성과 경험이 축척됐다는 점에서 주거지 전체의 통합된 계획적 관리수단인 마을단위 통합 정비계획 수립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그는 “인구가 감소하는 서울시와 달리 대규모로 계획된 주택공급이 지속되면서 인천시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고 전제, “주택보급률이 100%를 초과한 현 시점에서는 주택의 대량 공급보다는 소규모의 주택 공급과 기존 주택을 정비하여 활용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민참여 방식에 대한 인천시의 경험과 자산이라 할 수 있는 저층주거지 관리
사업 21곳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수준에서라도 마을통합정비계획 수립을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