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가 3년 만에 수면 위로 올라온 23일 해양수산부는 '대형 해양사고 제로화'를 목표로 한 안전기본계획을 공개했다.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향후 5년간의 정책 방향과 목표를 담은 범부처 합동 '제2차 국가해사안전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제2차 안전기본계획은 대형 해양사고 없는 안전하고 친근한 바다 이용을 비전으로 주요 사고 30% 감소, 사망자 30% 감소, 대형사고 제로화를 목표로 정했다. 이 계획에는 선박 안전 신뢰성 제고 및 맞춤형 안전관리, 자율적 안전관리 기반확대 및 해사안전관리체계 고도화, 해양안전 의식의 획기적 전환 유도, 해상 종사자 역량 제고와 고품질 복지 제공 등 6개 전략 분야에 대한 96개 세부이행 과제가 포함돼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안여객선 등에 대한 강도 높은 안전관리 혁신대책의 지속적인 이행과 함께 어선, 레저보트 등 소형선박에 대한 집중적인 안전관리로 해상에서 발생하는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해양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020년부터 한국형 이내비게이션(e-Navigation)을 현장에 도입하는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해양안전 분야에 적용할 예정이다.
또 선박 평형수, 환경친화적 선박 등 국제적으로 도입되는 해양안전·환경관련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세계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체계적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국제해사기구(IMO) 사무총장 배출국으로서 국제사회와 개도국에 대한 지원 강화 등 한국의 위상 제고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