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대우조선해양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으로부터 2조9000억원 자금을 한도 방식으로 신규지원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채권단의 자율 채무조정합의와 대우조선의 자구노력을 전제로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이다. 채무조정합의가 실패할 경우 법정관리와 워크아웃을 혼합한 프리패키지드플랜(P-플랜)이 가동된다.
정부가 내놓은 채무조정 방안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은행권이 다소 손실을 감당해야 한다. 우선 시중은행의 무담보채권 약 7000억원은 80% 출자전환하고 20%는 만기연장한다. 산은과 수은의 무담보채권 1조6000억원은 100% 출자전환한다. 회사채와 기업어음(CP) 약 1조5000억원을 50% 출자전환, 50% 만기연장한다. 이 경우 은행권은 충당금 총 1조7000억원을 추가로 적립해야 한다.
정부는 이미 지난 2015년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 자금지원을 결정해 시행한 바 있다. 때문에 추가자금 지원이 없을 것이라는 이전 발표를 뒤집었다는 비판이 예상된다.
금융위는 지난해 해운산업 수주절벽으로 대우조선이 자금부족 상황에 재차 직면해 신규지원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지난해 대우조선은 신규수주가 당초 목표보다 약 100억달러(12조원) 못 미치고 자금 유입은 예상보다 2조원이 줄었다. 여기에 유가하락으로 예정된 해양플랜트 인도가 지연되고 부동산 경기까지 침체되면서 자산매각이 힘들어진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