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공직자의 77%가 지난해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공개 대상자의 신고재산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전년보다 평균 약 7600만원 늘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의 관할 공개대상자 1800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23일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공개 대상자는 장·차관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총장, 공직유관단체 임원, 기초·광역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 의원, 시·도 교육감 등이다. 이들은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전년도 재산변동사항을 이듬해 2월말까지 신고해야 한다.
배우자와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을 포함한 올해분 신고재산은 평균 13억5500만원으로 종전 신고액에 비해 약 7600만원 많았다. 급여 저축, 상속·증여 등으로 인한 순재산 증가액이 56.6%(4300만원), 토지나 주택의 공시가격이나 주가 상승 등에 따른 가액 변동액이 43.4%(3300만원)이었다.
신고액 가운데 본인재산은 평균 7억4000만원(54.6%)였고 배우자는 4억7700만원(35.2%),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은 1억3800만원(10.2%)였다.
재산 증가자는 1382명(76.8%)이었고 증가액이 5억원 이상인 공직자도 69명(5.0%)이나 됐다. 재산이 줄어든 사람은 418명(23.2%)이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해보다 2억1800만원 증가한 37억3820만원을 신고했다. 탄핵 결정으로 청와대 퇴거 후 거주하고 있는 삼성동 자택의 공시가격이 1억8000만원 올랐고 예금이 3896만원 늘었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주택 공시가격 상승과 전세보증금 인상 등으로 종전보다 3억6009만원 늘어난 25억2173만원을 신고했다. 황 총리는 장남과 손녀의 재산은 독립생계를 유지한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았다.
신고액이 가장 많은 사람은 허성주 서울대 치과병원장으로 207억6205만원을 신고했다. 김홍섭 인천 중구청장이 194억여원으로 두 번째였고 임용택 한국기계연구원장(179억여원), 최창운 한국원자력의학원장(166억여원), 백종헌 부산광역시의원(152억여원) 등이 뒤를 이었다.
중앙부처 공개자로는 이련주 대통령비서실 국정과제비서관이 101억여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김학균 금융위원회 상임위원(97억여원),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90억여원) 등의 순으로 많았다. 장관 중에는 성영훈 국민권익위원장이 43억948만원, 김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37억8022만원으로 1, 2위였고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이 3억2985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광역단체장 중에는 김기현 울산시장이 71억532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박원순 서울시장은 1억2646만원이 늘었지만 마이너스(-) 5억5983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지난해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이종필 서울시의원으로 62억2738억원 증가한 149억여원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에 공개한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말까지 재산형성과정에 대한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허위신고 등 위법사항이 적발되면 최고 해임 및 징계의결 요청 등의 조치가 취해지게 된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정부 고위공직자들, 지난해 재산 평균 7600만원 불려
입력 2017-03-23 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