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 인양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목포신항에 도착할 경우 남은 과제는 두 가지다. 먼저 미수습자 9명을 찾아내야 한다. 세월호 선체는 3년간 바다 속에 잠겨 있어 부식이 상당히 진행됐다. 수색작업 중 붕괴할 가능성도 있다. 내부에 쌓인 퇴적물과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는 작업도 만만치 않다. 당국은 미수습자 9명 수색에 앞서 방역 등 안전점검부터 벌일 예정이다. 미수습자 시신이나 유해가 3년간 선체 밖으로 유실됐을 수도 있어 침몰 해역 수색도 병행키로 했다.
미수습자 선체 수색 방식은 이견이 있다. 당국은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객실 부분을 일부 잘라내 똑바로 세워 수색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일부 유족은 “객실을 분리할 경우 사고 원인 규명이 어려워진다”며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내기도 했다. 이에 선체를 최대한 보존하는 방향으로 선회한 상태다.
해양수산부는 세월호를 눕힌 상태에서 객실 구역만 분리해 바로세운 뒤 수색 작업을 벌이는 ‘객실직립 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미수습자 9명에 대한 수색 작업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유족과 충분히 협의해 수색작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침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가 진행된다. 검찰은 세월호 침몰 원인이 과적과 급격한 방향 선회라고 결론 내렸지만 의혹이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은 상태다. 지난해 특별조사위원회가 세월호에 제주 해군기지로 가던 철근 270여톤이 실렸다는 사실을 공개했고, 세월호에 있던 노트북에서 국정원 지적사항 파일이 발견돼 ‘국정원 개입설'도 제기됐었다. 잠수한 충돌설 등 각종 의혹을 규명하는 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세월호 선체 조사 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세월호 선체 조사 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안'이 지난 21일 공포·시행됐다. 선체조사위는 국회가 선출하는 5명, 희생자 가족 대표가 선출하는 3명 등 8명으로 구성된다. 이 중 최소 6명(전체 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선박 및 해양 분야에서 5년 이상 종사한 사람을 뽑게 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선체 조사위는 국회 및 희생자 가족 대표가 위원을 선출, 임명하는 즉시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며 "정부는 인력·예산 등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종자 수습과 조사를 마친 뒤 세월호 선체를 어떤 방식으로 보관할지도 문제다. '타이타닉호'처럼 핵심 부품만 떼어내 보존하는 방안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