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골수도 수심 44m 아래 가라앉아 있던 세월호 선체가 23일 3시45분 마침내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냈다. 인양 작업을 벌인 지 7시간, 진도 앞바다에 침몰한지 정확히 1073일 만이다.
23일 오전 7시 현재 세월호를 바지선 2척에 쇠줄로 묶어 고정시키는 1차 고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인부들이 수면 위로 드러난 세월호 선체 위로 올라가 작업 중이다.
고박이 마무리되면 세월호는 사흘에 걸쳐 1㎞가량 떨어진 반잠수식 선박에 옮겨진다. 해수부와 상하이샐비지는 오전 11시쯤 선체를 이동에 필요한 만큼 끌어올린다는 계획 아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오전 3시45분 스태빌라이저로 추정되는 세월호 구조물 일부가 육안으로 수면 위에서 관측됐다”고 밝혔다. 스태빌라이저는 선박 양 측면에 날개 형태로 설치돼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장치다. 해수부 관계자는 또 “1시간 뒤인 4시47분 본체가 드러났다”고 밝혔다.
해수부와 상하이샐비지는 22일 오후 8시50분부터 세월호 본인양을 시작했다. 수평이 무너질 경우 선체가 해저면으로 다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1시간에 3m가량만 들어 올리며 밤샘 작업이 진행됐다.
작업이 시작된 지 2시간 만인 밤 11시에 세월호 선체가 해저면에서 9m가량 들어 올려졌고, 새벽 1시에는 해저면에서 14.5m, 새벽 3시에는 18.2m까지 들어 올려졌다. 수면까지 3.8m를 남긴 상태였다.
인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23일 오전 11시쯤 세월호가 수면 위 13m까지 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장 여건에 따라 유동적이라고 해수부 측은 설명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