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이 21일 오후 11시40분 피의자 조사를 마치고 7시간에 걸친 신문조서를 꼼꼼히 검토한 뒤 22일 오전 6시55분쯤 청사를 나섰다. 조서 열람을 포함해 21시간 조사를 받은 셈이다. 전직 대통령 최장 기록이다.
박 전 대통령은 다소 헝클어진 머리와 초췌해진 얼굴로 22일 오전 6시55분 검찰 청사 정문에 모습을 드러냈다. 박 전 대통령은 쏟아지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 답변도 하지 않은 채 준비된 차량에 탑승했다.
10분만에 자택에 도착한 박 전 대통령은 차량에서 내려 환한 미소로 지지자들에게 환한 미소를 보인 뒤 집으로 들어갔다. 자택 윤상현, 최경환 등 친박계 의원들이 도열해 박 대통령의 귀가를 맞이했지만 일일이 인사를 나누진 않았다.
22일 검찰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는 지난 21일 오후 11시40분 종료됐다. 박 전 대통령은 잠시의 휴식 이후 변호인들과 함께 본격적으로 조서를 열람하며 자신의 답변들을 점검했다.
박 전 대통령은 자신의 혐의내용이 담긴 조서를 검토하면서 부분에 따라 적극적으로 수정·변경을 요청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오기(誤記)의 여부부터 문맥에 이르기까지 최대한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대응인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24분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도착해 9시 35분부터 조사를 받았다. 낮 12시 5분에 오전 조사를 마치고 박 전 대통령은 미리 준비해 간 김밥·샌드위치·유부초밥이 조금씩 든 도시락을 먹었다.
오후 조사는 오후 1시10분부터 오후 5시35분까지 진행됐다. 이 사이 박 전 대통령은 2번의 짧은 휴식을 가졌다. 저녁 식사는 죽으로 해결했다. 오후 7시10분쯤부터 다시 시작된 조사는 오후 11시 40분 마무리됐다.
박 전 대통령의 신문은 미르·K스포츠재단 강제모금 의혹 사건을 초기부터 수사해온 한웅재 형사8부 부장검사가 먼저 맡았다. 한 부장검사는 오후 8시35분까지 11시간가량 신문을 진행했다. 미르·K스포츠 재단 출연금 강요, 블랙리스트 지시, 기밀 문건 유출 등에 대해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오후 8시40분 바통을 이어 받은 이원석 특수1부 부장검사는 정치인·기업들의 뇌물 등 부패범죄를 주로 수사하는 ‘특수통’으로 분류된다. 이 부장검사는 삼성이 건넨 돈의 대가성 등을 집중적으로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7시간에 걸쳐 검찰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를 꼼꼼히 검토했다. 조서 열람에 예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 귀가가 늦어졌다. 이는 앞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과정에서 검찰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 향후 평사재판에서 주요 증거로 쓰인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