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워 보이는 문제가 좀처럼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을 때처럼 답답하게 하는 것도 없다. 해결될 듯하면서 해결되지 않아 조바심은 더욱 커지게 되기 십상이다. 몸에서 벌어지는 증상이라고 해서 크게 다르지 않다. 흔하고, 그래서 쉽게 해결될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은 증상. 소화불량이 그 주인공이다.
소화불량은 속쓰림, 조기포만감, 설사, 구토, 트림, 복부팽만감 등 증상을 가지고 있는 소화기관의 기능 장애와 관련된 병이다. 잘못된 식습관이나 스트레스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 증상을 설명하기엔 부족하다.
보통 지속적인 소화불량에 시달리게 되면 내시경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게 된다. 그런데 검사를 해도 별다른 문제를 찾지 못할 때가 있어 당황하게 된다. 이는 내시경으로는 기질적인 원인 밖에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편장쾌 네트워크 한의원 서울 용산점 김진석 원장은 “소화불량은 단순히 기질적인 원인으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위장의 기능문제로도 발생한다”며 “내시경 검사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화불량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장의 기능문제를 진단할 수 있어야만 한다”고 설명했다.
또 “위장 기능이 저하된 원인을 찾고 그에 따른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소화불량을 재발없이 해결하는 첫 걸음”이라며 “반복적인 소화제 복용으로 소화불량 지속 증상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면 이제는 기본적인 진단에서부터 다시 치료를 시작할 필요가 있음을 기억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위편장쾌한의원 측에 따르면 위장 기능의 문제를 밝히는 위장공능검사로 소화불량 원인을 밝히고 환자의 위장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 위장공능검사 실시 후에는 위장의 운동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신경적인 문제도 알 수 있다는 것. 덕분에 소화불량의 근본적인 원인 파악 및 향후 치료 기간의 예측 등도 가능하다.
김 원장은 “위장공능검사를 통해 알아낸 정보들을 기반으로 환자 별 맞춤 처방으로 이루어지는데 소화불량 증상을 점차 줄이고 결국 없앨 수 있는 위편탕, 건위단 등은 속쓰림, 신물, 메스꺼움, 구역질 등 소화불량과 동반되는 증상을 모두 제어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전재우 기자
소화불량 증상 근본적인 해결책은?
입력 2017-03-17 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