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 최윤진(
오른쪽) 교수 연구팀이 우리나라 소화기병 환자들 가운데는 기능성 위장관 질환의 증상 중 ‘식후 불편감 소화불량증’과 ‘변비형 과민성 대장증후군’, 이 두 가지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중복 증후군’ 환자가 눈에 띄게 많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또 이들은 소화불량 증상이 심할수록 우울감 정도도 커져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위·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다른 특별한 질환이 없는 기능성 위장질환 환자 354명과 건강한 대조군 278명을 대상으로 위장관 질환 설문지에 따라 증상을 분석하고 불안과 우울 증상에 대해 조사했다.
소화기병 유형은 국제 진단분류 기준에 따라 복통 오심 속쓰림 소화불량과 같은 상부 위장관 증상으로 나타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설사 변비 가스 부글거림 등 하부 위장관 증상을 보이는 ‘과민성 대장증후군’, 그리고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다시 ‘상복부 통증 증후군’과 ‘식후 불편감 증후군’,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변비형’과 ‘설사형’으로 각각 나뉜다.
이 같은 증상 분석에 따라 기능성 위장질환 환자 354명 중 기능성 소화불량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는 308명,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156명, 두 증상을 동시에 보이는 중복 증후군 환자는 354명 중 110명으로 무려 31.1%에 달했다.
중복 증후군 환자의 평균연령은 47.2세였다. 소화불량증만 있는 그룹의 평균 나이 51.9세보다 나이가 적었다. 중복 증후군 환자의 여성 비율은 66.4%로 과민성 대장증후군만 있는 그룹의 45.7%보다 여성 환자비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
또 중복 증후군에서는 미혼, 이혼, 사별의 비율과 음주력이 가장 높았으며, 우울점수 역시 10.1점으로 가장 높았다.
질환의 증상에도 차이가 많았는데 단일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보다 중복 증후군 환자가 느끼는 복부 불편감이나 복통, 조기 포만감, 식후 포만감, 더부룩함 및 오심 등의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고 우울감 역시 높게 확인됐다.
또한 단일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가 중복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소화불량증 환자가 느끼는 우울점수가 높고, 더부룩함의 증상이 있는 경우, 소화불량에 더해 과민성 대장증후군이 함께 나타나는 중복 증후군이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대로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에서는 미혼, 이혼, 사별한 경우와 오심, 더부룩함, 후긍증(배변 후에도 대변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은 느낌) 증상이 있는 경우에 중복 증후군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나영 교수는 “불규칙한 생활 습관과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소화불량과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함께 호소하는 중복 증후군 환자의 유병률이 상당히 높은 상황”이라며 “특히 기능성 위장질환이 복합적으로 나타날수록 우울점수가 높게 확인된 만큼 소화불량과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단순한 스트레스에 의한 증상으로 치부하지 말고, 위장의 기능 개선과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등 증상에 맞는 새로운 약제나 치료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소화기학 분야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가스트로엔테롤로지 앤드 헤파돌로지(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에 게재될 예정이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