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 측이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게 변호인단 합류를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 전 수석의 입장은 아직까지 전해지지 않아 합류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동아일보와 뉴스1등은 검찰 수사에 총괄 대응할 전직 검사장급 이상의 변호사를 선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그 중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유력하다고 14일 보도했다. 박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검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법률 대리인단을 보강한다는 계획이다.
최 전 수석은 지난해 10월30일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이 불거진 직후 임명됐지만 40일 만에 청와대를 떠났다. 검찰의 최순실‧안종범 수사결과 발표에 박 전 대통령이 형사 피의자로 포함된 뒤 청와대와 검찰 간 알력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당시 최 전 수석은 이에 대해 도의적으로 책임을 지는 차원으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박 전 대통령은 고심 끝에 최 전 수석의 사직서를 17일 만에 수리했다.
우병우 전 민정수석보다 사법연수원 2기수 선배인 최 전 수석은 검찰 재직 당시 특수통으로 통했던 인물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도곡동 땅 차명보유, BBK 주가조작 의혹 등 굵직한 사건을 맡아왔다.
대검 중수1과장 시절엔 현대차 비자금 사건과 론스타 사건을 수사하기도 했다. 2012년에는 중수부 폐지 문제를 두고 당시 한상대 검찰총장과 대립하면서 이른바 ‘검란사태’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최 전 수석은 이후 인천지검장으로서 세월호 실소유주인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검거 작전을 지휘했었다. 그러나 유 전 회장이 변사체로 발견되면서 그에 대한 책임으로 27년간 입었던 검사 복을 벗어야 했다. 그 후 민정수석으로 발탁됐지만 재직 기간은 길지 않았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