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꼼꼼하고 철저한 방역으로 AI 청정지역 사수한다”

입력 2017-03-14 15:05
경북도가 14일 도청에서 ㈔대한양계협회 경북도지회와 함께 도청을 방문하는 방문객과 도청직원을 대상으로 경북도내서 생산된 ‘14번’ 계란의 안전성과 우수성을 홍보하는 행사를 가졌다(사진). 경북은 내륙에서 유일하게 AI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16일 충북과 전남에서 시작된 AI사태로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산란계 3분의1 이상이 살 처분(약 2402만수)됨에 따라 계란대란이 촉발됐다.

올해 초 계란가격이 30개들이 한판에 1만원까지 급등하는 등 계란 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정부에서는 가격안정을 위해 미국과 스페인 등지에서 계란을 수입했으며 설 성수기가 마무리되면서 한 판당 가격은 6000~7000원대까지 떨어졌다.

최근 한동안 주춤했던 AI가 다시 확산세를 보이고 과거 종란 및 종계(병아리)의 주 수입국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지역 국가와 미국에서도 AI가 발생하면서 수입이 대부분 중단돼 국내 산란계 생산기반의 조기 회복에도 차질이 불가피함에 따라 또다시 계란대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도내 산란계 농가는 경북도가 지난해 고병원성AI발생 직후부터 시행한 ▲AI발생 시·도 생산 가금물 반입금지 ▲3만수 이상 가금농장에 대한 방역담당 공무원 지정 ▲산란계 밀집사육지역에 대한 특별 방역관리 ▲소규모 가금농가의 예방적 도태 등 중앙정부에서 요구하는 차단방역보다 ‘매우 빠르고, 매우 강력하게’ 시행한 방역대책으로 인해 내륙에서는 유일하게 AI 청정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대한양계협회 경북도지회 관계자는 “수급불균형으로 가격이 폭등한 국내 계란시장에 안정적인 계란 공급으로 국내 물가안정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었고 생산된 계란은 높은 가격으로 판매돼 그 어느 때 보다 농가소득이 향상됐다”며 “방역에 협조해 주신 시민과 방역당국에 대한 고마움을 전하기 위해 행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민·관·군이 합심해 현재까지 AI 차단방역을 성공적으로 유지한 결과 우리도 농민들의 주머니가 두둑해져 더 없이 기쁘다”며 “AI가 완전히 종식될 때까지 꼼꼼하고 철저한 방역조치로 반드시 AI청정지역을 사수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