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남북교류협력기금을 활용해 인천형 남북교류사업을 적극 전개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인천형 남북교류사업은 서해5도를 포함한 접경지역을 끼고 있는 인천시의 지정학적 특성을 살려 어업분야에서 협력하는 방안이다.
이 사업은 남북의 경계해역에서 공동으로 어종을 조사하고 적합 어종을 방류해 황금어장으로 남북공동의 해상파시를 여는 것으로 어민들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있어 남북화해가 이루어질 경우 성사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천시는 2005년부터 남북한 축구대회, 식량․보건의료용품지원, 남북접경 지역 말라리아 공동방역사업 및 통일공감대 형성사업 등을 활발히 추진하여 왔으나 지난해 1월 북한 핵실험과 개성공단 전면중단 등에 따라 남북간 직접 교류사업이 중단된 상태이다.
시는 올해 9억원의 남북협력기금을 활용해 통일 공감대 확산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우선 5000만원을 투입해 초등학생과 중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여름방학을 이용해 청소년 캠프를 열고, 시를 비롯 10개 군·구 및 공사·공단 등 18개 기관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통일교육을 실시할 방침이다.
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통일아카데미를 개설하고, 오는 9월말쯤 북한음식체험 축제도 열기로 했다.
특히 시는 남북교류 재재시 8억5000만원을 투입해 지난해 중단될 중국 쿤밍 남북한축구대회를 재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말라리아 방충망 및 치료제를 공급하고, 고려 역사 공동연구를 위해 강화도와 개성을 기반으로 한 교류도 펼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는 범시민 통일공감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남북간 직접교류 사업은 국내외 정세의 환경변화 등에 따라 인천型 남북교류사업이 재개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형 남북교류사업 올해는 실현될까
입력 2017-03-14 0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