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상반기 공채시즌을 앞두고 인사담당자 79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0.3%가 ‘스펙 좋아도 자소서 문제로 탈락시킨 적 있다’고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반면 응답자의 58.9%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스펙의 지원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소서를 이유로 서류전형에서 합격시킨 경험이 있다(58.9%)’고 밝혔다.
이처럼 서류전형 당락을 가를 중요한 과정으로 꼽히는 자기소개서, 잘 쓰기 위해서 유념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잡코리아 관계자는 “무엇보다 ‘자소서의 핵심’에 집중하라”고 조언했다.
인사담당자들이 꼽은 나쁜 인상을 주는 잘못 쓴 자기소개서(*복수응답) 1위는 산만하고 무엇을 말하려는지 요점이 분명치 못한 자소서(51.5%)였다. 2위는 비속어 사용, 맞춤법 실수, 기본적인 어휘 구사력이 떨어지는 자소서(37.9%)였다 3위는 어디서 보고 베낀 듯한 인상을 주는 자소서(34.9%)가 차지했다. 또 우리 회사에 대한 관심이나 이해가 부족해 보이는 자소서(31.7%), 지원 기업 및 직무를 잘못 쓰는 결정적인 실수를 한 자소서(26.8%)도 잘못 쓴 나쁜 자기소개서 5위권에 올랐다. 그밖에 지원자의 성향·특성이 보이지 않고 진부한 자소서(26.6%), 같이 제출한 이력서·지원서와 내용이 어긋나는 자소서(14.9%), 짧은 경력·경험에 비해 과도하게 자신감을 표출하는 자소서(13.7%)도 인사담당자를 좋지 않은 자소서로 꼽았다.
나쁜 자기소개서의 가장 큰 특징이 ‘요점 없음’이었다면, 좋은 자기소개서의 조건은 ‘핵심이 두드러진 것’이었다. 응답자의 45.1%는 핵심을 명확하게 작성한 명확한 자소서를 잘 쓴 자소서로 꼽았다. 2위는 지원 직무와 업계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자소서(34.5%), 우리 회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잘 드러난 자소서(26.4%)가 그 뒤를 이었다. 4위는 지원자의 개성과 성향·장단점이 잘 표현된 자소서(22.2%), 5위는 지원 직무와 관련한 경험을 중심으로 지식·역량을 잘 설명한 자소서(21.5%)가 각각 차지했다. 이밖에도 실수나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문장으로 간결하게 작성한 자소서(12.5%), 이력서·지원서와 함께 전체적인 글의 짜임이 좋은 자소서(9.6%), 에피소드와 경험을 살려 읽는 재미와 함께 지원자에 대한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자소서(6.5%)도 지원자들에 대한 좋은 인상을 심어주는 잘 쓴 자소서로 꼽혔다.
잡코리아 좋은일연구소 이재학 소장은 “기업들이 자기소개서를 통해 보고자 하는 것은 지원자의 문장력이 아니라 지원자 자신이라는 점을 의외로 많은 구직자들이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미사여구와 군더더기를 빼고, 기업이 자신을 뽑아야 하는 이유 즉 핵심에 집중해야 한다”고 이 소장은 조언했다. 또 “지원하는 직무와 회사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경험을 중심으로 자신의 역량과 성향을 매력적으로 어필하는 자기소개서를 쓸 것”을 주문했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