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 정상적인 목뼈의 형태는 옆에서 보았을 때 C자 형태를 유지해야 되는데, 목주변 인대나 근육의 강직으로 인한 X-선상 일자형태의 변형된 모습을 보이는 변형이 최근 증가하고있다. 서대문구 홍제동 자인 신경외과 의원 윤성민 원장은 “일자목을 일으키는 원인은 교통사고 등 외상충격의 영향도 있지만 잘못된 자세와 생활 습관으로 비롯되는 경우가 더욱 많다”고 설명한다.
하루 종일 컴퓨터를 쳐다보거나 책상에 앉은 수험생들은 머리가 앞으로 길게 빠져 이 머리를 지탱하기 위해 목과 어깨근육은 긴장하고 딱딱하게 굳게 돼 이 자세가 습관이 되면 서서히 목이 일자로 굳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인하여 거의 하루 종일 고개를 숙이고 있는 경우가 많이 이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더욱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일자목이 생기게 되면 머리 무게를 분산하는 역할이 저하돼 양쪽 어깨와 목의 근육에 많은 부담을 주게 돼 만성적인 어깨 무거움이나 뻐근한 목의 통증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많은 사람들이 일자목이라고 하면 어깨나 목의 통증만을 생각하고 2, 3차적인 질환이 유발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사실 일자목으로 인해 경추가 틀어지면서 턱관절 장애나 두통 등의 증상이유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가장 두려운 것은 목 디스크다. 일자목은 C자목에 비해 디스크가 생길 확률도 높다.
목의 정상곡선이 변형되면서 가장 많이 목이 꺽인 부분에 머리의 무게가 집중되고 그 부위의 디스크 간격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나오는 구멍을 압박해 디스크가 조금만 나와도 쉽게 신경을 압박해 목디스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일자목은 증상 자체를 질환으로 볼 수는 없지만 여러 연관질환들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교정이 필요하다.
일자목을 진단하는 방법은 의외로 쉽다. 병원에서 X-ray 검사만 받아봐도 자신의 목의 상태가 일자목인지 아닌지를 알 수 있다. 자가진단으로도 본인의 일자목가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우선 외향적으로 봤을 때 일자목이 많이 진행된 사람들은 소위 고양이 등이라는 등 위쪽이 볼록 튀어나온 모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목뼈가 일자로 펴지면서 목과 등이 이어지는 연결부위가 뒤로 밀려나면서 변형돼 나타나는 모양새다. 만약 고양이등을 하고 있다면 일자목을 의심해볼 수 있다. 경직된 목의 유연성을 주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일자목으로 인한 목디스크를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하지만 무엇 보다 중요한 것은 생활 자세다.
특히 스마트폰, 모니터를 응시하는 자세와 수면자세가 중요하다. 뭔가를 응시할 때 고개를 뒤로 지나치게 젖히거나, 앞으로 목을 쭉 빼고 숙이는 자세는 목의 척추를 지지하는 인대를 약하게 만들어 목의 구조를 불안정하게 만들기 때문에 고쳐야 한다. 더불어 근육이 경직되지 않도록 20분 정도 집중해서 모니터를 보았다면 5분 정도는 가볍게 목의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그리고 목 근육 강화 운동을 통해 목과 등의 근육을 단단하게 만들어 자세를 잘 유지시켜 줘야 한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