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운영 패러다임 ‘안전최우선’으로 전환…노후시설 교체·안전인력 확충·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입력 2017-03-08 11:00

서울시가 노후 전동차 610량을 2020년까지 새 차량으로 교체하고 스마트통합관제를 구축하는 등 지하철 운영 패러다임을 안전 위주로 전환한다.
시는 8일 안전기능을 보강하고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발표했다.

개통된지 40여년간 지배해온 ‘정시성(定時性)’이란 지하철 운영 패러다임을 ‘안전’으로 전환하면서 시설물·인력·시스템 등 전 분야에서 안전기능을 강화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우선 21년 이상 장기사용 중인 전동차 가운데 2~3호선 610량(2호선 460량, 3호선 150량)을 8370억원을 투입해 2022년까지 신규 차량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시는 1차적으로 2014년 12월 2호선 200량을 발주했고 이달에 2호선 214량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어 2018년부터 22년까지 2호선 46량과 3호선 150량을 추가 교체할 계획이다.

2014년부터 2년에 걸쳐 리모델링을 완료한 1호선 64량은 정밀 안전진단 결과 15년 연장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명됐다. 4~8호선 전동차에 대해서는 연차별 정밀안전진단을 거친 후 추가 교체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신규 전동차에는 승강장안전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출입하지 못하도록 자동 연동되는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자동열차운전장치)시스템이 적용된다.

신규 전동차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기존 차량에 설치 가능한 RF(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방식 제어시스템을 우선 도입해 승강장안전문의 안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개통 후 40여년이 지난 1~4호선의 전차선로, 열차신호설비 등 7개 분야 21종의 노후시설도 2030년까지 총 2조2000억원을 투입해 개량하고 노후역사는 리모델링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서울지하철 307개 역사 중 30년 이상된 노후역사는 120개(1~4호선 지하 100개, 지상 20개 역사)다. 이 중 75개 역사는 기계 및 소화설비 교체, 승강편의시설 설치 등 리모델링이 완료됐다.

시는 리모델링 비용이 1개역 당 250억원으로 향후 추진할 45개 역사 리모델링에 총 1조 1250억원이 소요되는 만큼 관계 법령에 따라 국비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애고장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도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부품의 교체주기를 정립하고 정밀안전주기를 20년에서 15년으로 단축하는 등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내진보강 사업도 진행한다. 내진보강이 필요한 총 53.2㎞ 구간 공사를 202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3.7㎞공사를 완료했고 올해 14.5㎞ 구간을 추가 공사할 예정이다.

시는 또 양공사 통합과 연계해 안전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을 2023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운영기관별·호선별로 각기 운영되는 현행 관제시스템을 공간적·기능적으로 통합하게 된다.

안전관리 인력도 확충한다. 안전관리인력을 역마다 2명씩 총 556명으로 확대하고 지하철보안관 50명을 충원할 예정이다. 통합공사 출범에 따른 중복업무 인력 393명도 현장부서로 전환배치하기로 했다.
 서비스중심의 역무실과 고객상담실은 ‘안전센터’로 개편해 안전관리부서로 운영할 계획이다.

또 기관사 및 지원인력 104명을 추가 확보해 1인승무로 운영 중인 7호선 일부구간에 2인 승무제를 시범 실시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서울 지하철은 ATO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은 코레일·서울메트로 구간만 2인 승무제로 운영되고 있다.
 시는 3월부터 1년간 2인승무제를 시범적으로 도입해 현장 대응력, 기관사 업무경감효과 등을 검증한 후 확대 실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시는 기관사 인력 추가확보를 위해 이달 중 행자부에 총액인건비 증액협의를 요청할 예정이다. 2인 승무가 현실적인 대안이 아니라고 판명될 경우에는 체력단련비 등 처우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운영시스템을 안전 최우선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차량고장 시에는 관제보고보다 승객안내방송을 먼저 실시하고 단전 시에도 승객안내가 가능한 무정전 방송장치를 2020년까지 2942량에 확대 도입할 예정이다. 또 비상시 대피절차·요령을 담은 ‘시민안전 행동매뉴얼’을 제정해 홈페이지, SNS 등을 통해 확산시킬 예정이다.

지하철 공사현장의 안전관리실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도 도입한다. 호선별 안전관리책임관 등 안전관리 전담인력도 확대배치하고, 안전관리규정을 미준수한 업체는 공사입찰 참여를 원천적으로 배제시킬 방침이다.

전동차 정비 및 유지보수 시간확보를 위해 지하철 심야 연장운행시간 조정도 검토하기로 했다.
 심야버스 확대 등 대체수단 마련,  이른 새벽시간대 저소득층 이용수요 해결방안 마련 등을 통해 평일 새벽 1시까지인 연장운행시간을 조정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IoT) 등 ICT를 활용한 ‘스마트안전지하철’ 마스터플랜도 수립한다.
 소매치기, 성추행, 폭행, 부정승차 등 각종 비정상 행위를 구분하여 즉각 반응하는 지능형 CCTV를 도입할 계획이다. 열차 내 혼잡도를 색깔로 알기 쉽게 표현해 모니터에 표출함으로써 탑승객 분산을 유도하는 객차혼잡도 안내 스템도 도입된다. 지능형 CCTV에 상습부정승차자 빅데이터를 연계시킨 부정승차 자동단속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서울지하철의 노후전동차 교체 등 안전시설투자에만 2030년까지 총 7조8066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노후시설과 관련해 노후전동차 교체 약 2조 9000억원, 노후시설 재투자 약 2조2000억원, 노후역사 리모델링 약 1조5000억원), 승강장안전문 개선 및 내진보강 등에 약 1조5000억원 등이다.

하지만 2016년 기준 양공사의 요금수입의 원가보전율은 71.9%에 불과하고무임승객으로 인한 손실까지 감안하면 지하철 재정이 취약하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에 도시철도법 개정을 통해 노인 등 무임수송손실 국비지원과 노후시설보강을 위한 국비지원(40%)을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다.

또 노후시설 재투자를 위한 공사채 발행이 가능하도록 행자부에 발행기준의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다.

신규사업을 발굴하고 경비를 절감하는 등 신규수익 창출을 위한 자구노력도 더욱 강화한다. 또 양공사 통합에 맞춰 시설규격을 단일화해 공동발주로 부품 등 구매단가를 낮추는 등의 자구노력을 할 방침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지하철 운영 전반에 걸쳐 ‘안전최우선’ 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용승객들의 안전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바탕이 돼야 한다”며 “안전투자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