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7일 탈당을 선언하면서 향후 거취가 관심이다. 김 전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기존 정당 입당을 묻는 질문에 “당에 들어가거나 그러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대통령 선거캠프 합류 가능성은 “국민통합을 이루는 데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고 여지를 뒀다.
그는 한국중견기업연합회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탈당을 선언하면 행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듯한 발언이다.
김 전 대표는 탈당 선언 전 국민의당에 입당한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조찬회동을 했다. 손 전 지사에 따르면 김 전 대표는 “개혁세력을 만드는 데 나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전 대표는 “손 전 지사가 한 말이다. 그런 얘기 안했다”며 “탄핵 판결이 난 다음에 상황 전개를 보고 무엇을 하든지 하겠다고 했다”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에서는 김 전 대표가 탈당 후 기존 정당에 입당하기 보다 제3 지대에 머물며 비문(非文) 후보단일화를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전 대표가 국회의원으로는 필생의 과업인 경제민주화 구현에 한계를 느낀 만큼 직접 대선 후보로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탈당을 공식화한 김 전 대표에게 러브콜을 보냈다.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은 김 전 대표 탈당선언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전 대표는 친문패권 세력에게 실망한데다 개헌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탈당키로 한 것”이라며 “우리와 공통적인 고민이기 때문에 같이 논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김 전 대표를 만나 개헌을 매개로 제3 지대 구축을 모색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도 “국민의당과 함께 나가는 모습이 됐으면 좋겠다”고 러브콜을 보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도 “김 전 대표와는 밀접한 관계”라며 “사적으로 연락해 공개하긴 어렵지만 접촉이 있었다”고 영입 또는 연대 가능성을 열어뒀다.
민주당은 김 전 대표가 탈당을 공식화하면서 다급하게 움직이고 있다. 당 지도부인 안규백 사무총장과 친문계인 이용섭 전 의원(문재인 전 대표 경제특보)은 탈당선언 전 김 전 대표 사무실을 직접 찾아 만류했다. 김 전 대표 측근인 김성수 의원과 박용진 의원도 만류에 동참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김 전 대표의 탈당을 만류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친문계인 손혜원 의원도 김 전 대표가 페이스북 방송에서 2012년 대선에 패배한 문재인 전 대표를 위로한 사례를 언급하며 탈당을 만류했다.
하지만 문 전 대표가 김 전 대표의 탈당을 만류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문 전 대표 측은 “떠난 사람은 잡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문 전 대표는 김 전 대표가 탈당을 공식화한 후 기자들과 만나 “직접 만나 설득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여러 사람이 노력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만 말했다.
뉴시스·고승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