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대 교수들이 최순실 국정농단과 백남기 농민 사건 등 최근 일련의 사회적 논란에 서울대병원이 연루된 것과 관련 “부끄러움을 감출 수 없다”며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또 정부와 권력의 부당한 의지에 휘둘리지 않도록 서울대병원장 인선 과정의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대의대교수협의회(회장 전용성 생화학교실 교수)는 7일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이메일 성명서에서 “국내 최고 의료 전문가와 교육자를 자부하면서도 정치적 성향에 구애 받지않고 학문적 사실에 대해 자유롭게 말하는 데 주저했고 침묵과 무관심으로 지나온 것을 반성한다”고 운을 뗐다.
협의회는 “지난 가을 백남기씨의 사망 진단서와 관련된 사회적 논란이 불거졌을 때는 진단서를 작성한 전문가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는 주장과 사망진단서 작성의 일반 원칙에서 벗어난 오류를 지적해야 한다는 주장을 모두 존중할 가치가 있는 의견이라 판단했다”면서 "하지만 서울대병원은 이러한 사회적 논란을 해소시키기 위해 특별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도 논란에 대한 전문가적 판단을 분명하게 밝히지 않음으로써 우리나라 최고의 의료전문가 집단이라는 서울대병원에 대한 국민의 기대를 져버렸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대병원장이 권력과 유착된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서도 언급했다.
협의회는 “서울대병원장이 제도적으로 정부와 대통령에 의해서 임명되고 병원에 대한 지원도 정부에 의해서 결정되는 현 상황에서는 권력의 입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현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나아가 “진리의 상아탑으로서의 대학, 국민 건강증진과 생명 수호의 최종 보루로서의 대학병원이라는 본연의 존재 이유를 다시 찾고자 하며, 권력과 돈에 길들여지기를 단호히 거부하려 한다”고 단언했다.
이어 “서울대병원이 정부와 권력의 부당한 의지에 휘둘리지 않도록 서울대병원장 인선 과정과 대학병원에 대한 지원체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행 서울대병원장 선출은 후보추천위원회 추천을 받은 뒤 9명의 병원이사회(서울대총장, 서울대의대학장, 서울대치과병원장, 서울대병원장, 교육부 및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차관, 사외이사 2명)에서 선임하고 교육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식다. 대통령이나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이에 협의회는 “병원 구성원들이 적절한 병원장 후보자를 선정하고 이를 정부가 존중하는 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