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다오맥주·샤오미 사지말자”…중국산 제품 불매 움직임

입력 2017-03-07 14:34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보복의 강도가 심해지고 중국인의 반한감정이 고조되면서 국내에서도 그동안 쌓였던 반중감정이 표출되고 있다.


롯데 등 한국기업은 중국 당국의 표적이 돼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탄핵정국의 소용돌이 속에 정부마저 외교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면서 국민적 분노는 쌓여가고 있다.

이에 중국의 부당한 보복조치에 항의하거나 중국 주요제품 불매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일부 보수단체는 7일 서울 명동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100여명이 참석하는 ‘사드배치 보복 규탄’ 집회를 열고 중국 측에 전할 예정이다.

SNS에서도 중국 제품 불매운동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중국의 한국제품 불매운동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중국제품 불매운동을 펼치자는 여론이 뜨겁다.

중국의 무역보복 관련 기사에는 “언제까지 속수무책으로 당할 거냐” “우리도 차이나타운 강제철거, 중국 투자금 회수, 중국 관광금지를 시작하자”는 혐중 수준의 댓글이 달렸다.

한 네티즌은 블로그에 ‘중국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하겠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한 대 맞았을 때 두 대 맞는 것을 두려워 한다면 다음부턴 우린 중국의 밥이 된다”며 “중국제품 불매운동은 감정적 대응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우선 중국의 대표 맥주 ‘칭다오’가 타깃이 됐다. 칭다오는 지난 1~2월 매출이 급신장하며 한 대형마트에서 하이네켄을 밀어내고 판매량 1위로 올라섰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별 맥주 매출액은 ‘아사히’ ‘삿포로’ ‘산토리’를 앞세운 일본이 5121만 달러(약 591억원), ‘칭다오’ 인기를 업은 중국이 2639만 달러(약 305억원)로 1, 2위였다. 다음은 독일(1987만 달러), 아일랜드(1855만 달러), 네덜란드(1503만 달러), 벨기에(1283만 달러), 미국(973만 달러) 순이었다.

중국 IT제품 인식 개선에 기여한 ‘샤오미’ 제품이나 ‘TCL’ ‘하이얼’ 등 중국산 TV를 불매하자는 움직임도 있다. 이들 제품은 아직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지 않지만 저가형 스마트폰·TV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한국에 수출하는 품목이나 금액이 상당해 한국 소비자가 불매운동을 벌일 경우 중국의 타격도 만만치 않다”며 “중국 제품 불매운동으로 국내 수입사와 직원에게도 피해가 갈 수 있는 만큼 신중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정리=고승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