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수사결과 발표] ⑦ 朴대통령-최순실 ‘차명폰 핫라인’ 수시통화

입력 2017-03-06 15:58


박영수(65·사법연수원 10기) 특별검사팀이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61·구속기소)씨가 차명 휴대 전화를 이용해 수시로 통화했다고 결론 내렸다.

국정 농단 사건이 불거진 이후 독일 도피 중이던 최씨가 해당 전화를 이용해 박 대통령과 입국 여부를 협의했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6일 특검팀 수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박 대통령과 최씨는 각각 차명 휴대 전화를 이용해 2016년 4월18일부터 2016년 10월26일까지 국내·외에서 모두 573회 통화했다.

특히 최씨가 국정농단 의혹이 불거진 이후 독일로 출국했던 기간인 2016년 9월3일부터 같은해 10월30일까지 통화 기록만 127회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수사 과정에서 박 대통령이 최씨가 원하는 바를 안종범(58·구속기소)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에게 지시한 것으로 파악하고, 최씨와 박 대통령 사이 '핫라인'이 있을 것으로 의심하고 수사를 벌였다.

수사 과정에서 최씨 조카 장시호(38·구속기소)씨를 통해 지난해 JTBC 태블릿 보도 직후 최씨 요청을 받은 최씨 언니 최순득씨가 윤전추 행정관 차명 전화를 이용해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장씨는 최순득씨가 대통령과 최씨 입국 여부를 협의했다고 특검팀 조사 과정에서 진술했다.

특검팀은 최순득씨 통화 내역을 역추적해 최씨와 박 대통령 차명 휴대 전화 번호를 파악했다. 이어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 진술을 통해 특정 번호를 박 대통령이 사용한 사실을 확인했다.

특검팀은 박 대통령과 최순실, '문고리 3인방' 등이 자신들끼리만 연락하는 차명 전화가 모두 부천에 있는 휴대폰 대리점 1곳에서 개통된 것으로 파악하고 압수수색을 통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조사 결과 해당 차명 휴대 전화는 이영선(38) 청와대 행정관이 개통해 양도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행정관은 2013년 10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차명전화 모두 52대를 개통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