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메르스 사태 때 미흡한 초기 대응으로 피해를 키웠던 삼성병원의 책임을 박근혜 대통령이 눈감아 준 정황을 파악했다. 정유라에 대한 지원을 대가로 징계 수위를 낮춰 준 것으로 특검은 보고 있다.
SBS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2년 전 메르스 사태 삼성병원이 메르스 초기 대응을 잘못해 피해를 키웠지만 정유라를 지원한 대가로 낮은 징계를 받은 정황을 포착했다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메르스 사태 직후 삼성전자 부회장과의 독대에서 “삼성서울병원의 초기 대응이 미숙했지만, 메르스 사태 이후 거듭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특검은 이 언급을 정유라 지원 대가로 삼성병원의 징계 수위를 낮춰주겠단 취지의 발언으로 해석했다.
실제 독대 3일 후 보건복지부의 제재조치 대상에서 삼성서울병원이 제외됐다. 특검 수사가 시작된 지난해 12월에야 800만원의 벌금 등의 처분을 받았다. 2015년 메르스 정국 당시 38명이 숨졌다. 당시 삼성서울병원은 초기 대응에 실패해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검은 또 2015년 11월 8일 박 대통령은 안종범 전 청와대 수석에게 국정 교과서 지지 세력인 좋은 교과서 만들기 시민연대 등 우익단체들에 대한 지원을 삼성에 요구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파악했다.
이 지시 내용은 안 전 수석의 수첩에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특검 수사 결과 삼성은 박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우익시민단체 4곳에 4억여 원을 우회 지원한 것을 확인됐다.
이를 근거로 특검은 박 대통령과 삼성의 관계를 '정경유착'으로 결론내렸다. 삼성은 특검의 이 같은 수사 결과를 부인하며 법정에서 사실 여부를 다투겠다는 입장을 SBS에 전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