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가 3일 자유한국당과 연정 문제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문 전 대표와 안 지사는 이날 오후 CBS가 주관한 1차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토론회에서 문 전 대표는 과거 반성 없는 적폐 대상과 연정은 어렵다고 선을 그었고, 반면 안 지사는 개혁과제 동의를 전제로 자유한국당과도 연정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안 지사는 "탄핵 이후 다음 정부는 국민 통합을 이끌고 현재 다당 체제에서 국민이 요구하는 개혁과제를 실천해야 한다"며 "그런 점에서 현행 헌법 내에서 현재 대통령제와 의회 협치 수준을 연정 수준으로 높이자고 제안한다"며 동의를 구했다.
이에 문 전 대표는 "협치는 꼭 필요한 일이다. 단독으로 과반을 이룰 수 없다면 연정도 당연히 필요하다"면서도 "그런데 지금 안 후보가 이 차원을 넘어 자유한국당까지 함께하는 대연정을 말하는 것은 참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는 "연정을 말하면서 협치라고 한다"고도 꼬집기도 했다.
안 지사는 "국가 개혁과제에 동의하면 의회에서 어떤 당과도 논의해야한다. 국가 개혁에 동의하면 누구와도 대화해야 한다는 말씀"이라고 문 전 대표에게 재차 답변을 요구했다.
문 전 대표는 "자유한국당은 탄핵 반대, 특검 연정 반대, 국정농단하면서 적폐를 만든 정당인데 아직도 아무런 반성이 없다"면서도 "자유한국당도 이런 과거를 반성하면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에 동참 가능하다"고 답했다.
그는 '바른정당과는 연정이 가능한가'라는 안 지사의 질문에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이 근본적으로 다른 점을 아직 찾지 못했다. 포장만 다르게 한 것 같다"고 선을 긋기도 했다.
안 지사는 "문 후보와 제가 그 점에서 틀리다"며 "헌법적 질서에 승복하는 것"이라고 재차 차별화에 나섰다.
하지만 문 전 대표는 "안 후보가 너무 통합과 포용에 꽂혀 계신데 협치와 대화, 타협이 필요하다. 다 좋다. 대통령이 야당과 폭넓게 대화해야한다"면서도 "그런데 어떻게 이 상황에서 적폐대상과 포용하고 연정을 하겠나"라고 거듭 비판했다.
정지용 기자 jy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