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군사력 동원·체제 변화 등 다양한 대북 전략 검토

입력 2017-03-02 14:52
사진=신화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의 핵무기 위협을 둔화시키기 위해 군사력과 체제변화를 포함한 다양한 전략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일(현지시간) 백악관 내부 인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첫 의회 연설에서 대북정책을 언급하지 않은 것도 북한 문제 검토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국에게 지난 수십년간 뒷받침한 아시아와 미국 간 합의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재확인하면서,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실험을 중단할 것을 약속하도록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WSJ는 전했다.

WSJ에 따르면 백악관 외교안보팀을 이끄는 캐슬린 맥팔랜드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은 2주전 회의를 소집해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포괄적으로 재고하는 방안을 안보당국자들에게 물었다. 당국자들은 북한을 핵보유 국가로 인정하는 것부터 군사행동까지 모든 방안이 포함된 의견을 제시했다.

NSC 관계자들은 지난달 28일 맥팔랜드 부보좌관 제안에 별도의 의견을 전달했으며, 백악관은 현재 이를 논의 중이다. 따라서 조만간 보다 정제된 내용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될 전망이다.

백악관의 변화는 지난달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고, 김정은 북한 노동당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말레이시아에서 암살 당하는 등 북한 문제로 동아시아의 안정이 위협받는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 당국자들은 최근 동맹국 회의에서 새 대북전략으로 군사력 동원 가능성을 언급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과 관련한 모든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여러 차례 밝혔다. 일본은 북한이 ICBM을 시험할 준비가 된 것처럼 보이면 미국이 군사적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고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