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골수성 백혈병이 급성으로 진행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발견됐다.
만성골수성 백혈병은 진단 초기에는 만성기의 순한 상태가 5~6년간 지속되다가 표적항암제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 갑자기 백혈병 암세포가 무한 증식해 1년 안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급성기로 변한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김동욱,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김홍태, 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명경재 교수 등 임상과 기초 연구진들이 14년 간의 집요한 연구 끝에 만성골수성백혈병에서 급성기 전환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인 '코블1' (Cobll1)을 세계 최초로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최신 정밀의학 기법인 '차세대 유전자 분석 방법(NGS)과 제브라 피쉬(Zebra Fish) 실험을 통해 코블1 유전자가 증가하면 글리벡이나 타시그나, 스프라이셀, 슈펙트, 포나티닙 등 여러 표적 항암제에 내성이 생기면서 증상이 갑자기 악화되어 급성기로 진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제브라 피시는 성체의 크기가 약 3~4㎝ 정도인 담수어의 일종으로 인간의 유전자 및 조직과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 급성기 전환 후에 코블1 유전자의 발현이 높은 환자는 최신 표적항암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증가하고 이 유전자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경우, 표적항암제에 백혈병 세포가 다시 잘 듣는다는 사실도 함께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한국백혈병은행에서 장기간 정기적으로 보관되어 온 백혈병 검체를 이용해 90명 이상의 환자에서 확인됐다.
아울러 코블1 유전자가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의 줄기세포 뿐만 아니라 일부 고형암에서도 발현이 증가됨을 밝혀 근본적으로 백혈병 줄기세포를 공격하는 완치 치료제의 개발과 함께 다양한 고형암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연구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김동욱 교수는 “코블1 유전자의 기능 규명으로 만성골수성백혈병의 표적항암제 내성과 급성기 진행에 대한 또 하나의 퍼즐이 풀렸다”며 “향후 획기적인 백혈병 치료법을 제시할 가능성이 더 높아졌고, 이를 다른 백혈병으로 까지 확대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혈액암 분야 세계 1위 국제학술지 ‘루케미아 (Leukemia)’ 인터넷판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