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는 도미노와 같다. 여러 부위들은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유기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어느 한 부위의 문제가 다른 부위의 문제를 동반하게 된다는 의미. 어깨와 목의 통증이 함께 느껴진다거나 복통이 심한 경우 어지럼증이 함께 느껴지는 등의 증상이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턱관절 장애의 문제도 이렇게 동반되는 증상이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턱관절은 안면부 양쪽 귀 앞쪽에 하나씩 자리잡고 있다. 턱관절의 움직임에 있어 경추 1, 2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때문에 경추와 그 하부로 이어지는 척추, 골반 등의 구조와도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또 턱관절의 주변으로는 수많은 신경과 혈관이 밀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내이기관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해부학적 위치의 특성상 턱관절 장애는 편두통이나 이명, 어지럼증, 어깨 통증, 뒷목 통증, 요통, 골반 통증 등 전신에 걸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반적인 전신 체형의 문제가 턱관절 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다. 골반이 퍼지고 척추, 경추가 틀어지는 등의 체형 불균형은 턱관절의 균형 있는 움직임을 방해하여 턱관절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장시간 앉아있는 일이 많은 직장인이나 학생들의 경우 체형의 문제가 원인이 된 턱관절 장애를 호소하는 일이 잦다. 이렇게 발생한 턱관절 장애가 동반하는 편두통, 이명 등의 증상은 집중력을 저하시켜 업무나 학습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수면을 방해하여 피로가 누적될 수도 있어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저하시킨다.
바른턱경희정함한의원 박근용 한의학 박사는 “이런 경우 턱관절과 함께 연관된 부위를 함께 바로잡는 교정치료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틀어지고 벌어진 체형 구조를 바르게 하면 체형 구조가 온전한 상태를 되찾게 되면서 턱관절 장애와 함께 동반될 수 있는 문제들의 동시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근육의 경직을 풀어주고 근골을 강화시켜주며 기혈을 보강하는 등의 병행 치료를 통해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까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턱관절 장애의 경우 재발 사례가 상당히 많다. 이는 원인이 된 체형의 문제를 바로잡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장에 느껴지는 턱관절의 문제는 완화되었다고 하더라도 원인이 되는 체형 구조의 문제가 남아 또다시 증상을 재발시키게 되는 것. 뿌리가 상한 나무는 잎이 계속 상할 수밖에 없듯이 틀어진 체형의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면 증상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턱관절과 체형의 구조 균형을 함께 살피는 교정치료와 함께 평소 체형의 틀어짐을 유발하는 나쁜 자세 습관을 개선하고 턱 괴기, 엎드려 자기 등 턱관절에 좋지 않은 생활습관을 확인, 개선하는 것이 좋으며 평상시 항상 바른 자세 습관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것이 턱관절 장애의 악순환을 예방하는 바람직한 자세일 것이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