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박영수 특별검사의 수사기간 연장을 불허했다.
홍권희 총리실 공보실장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독한 발표문에서 황 대행은 “특검법의 목적을 달성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는 검찰이 특검법 취지대로 수사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황 대행 발표 직후 야당을 중심으로 정치권은 날선 반응을 쏟아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국정농단 세력 처벌과 적폐청산의 염원을 외면한 헌정사 최악의 결정”이라고 강하게 규탄했다.
그는 “황 대행은 자의적이고 정치적인 결정을 두고두고 후회할 것”이라며 “우리당은 새 특검법 발의를 비롯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다할 것”이라고 새로운 특검법 발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트위터를 통해 “황 대행도 공범임을 자인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통령과 총리가 헌법 유린과 국정농단의 한 몸통이 드러났다. 대통령은 수사를 거부했고, 총리는 특검 연장을 거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희정 충남지사 측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의 명백한 진실규명을 통해 적폐청산을 바라는 민심을 정면으로 외면한 처사”라고 규탄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황 대행은 역사의 죄인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 측은 “박근혜 정부 법무부 장관, 국무총리를 역임한 황교안은 국정농단의 부역자가 아닌 국정농단 세력의 주범임이 명백히 밝혀졌다”고 비판했다.
바른정당은 “이번 결정은 국정농단 사태의 진실규명을 바라는 국민의 뜻을 무시한 그야말로 대통령 권행대행의 독재적 결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황 대행의 특검연장 거부는 탄핵 소추 사유로 충분하다”며 야 4당 대표의 긴급 회동을 제안했다.
반면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결과를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황 대행은 부당한 협박과 압박에 굴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