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우울한 취임 4주년… 자축 없이 탄핵심판 전념

입력 2017-02-24 13:34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에 전시된 역대 대통령 사진에 박 대통령의 얼굴이 반영되고 있다. 뉴시스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25일로 취임 4주년을 맞이하지만 별다른 자축 행사 없이 조용히 보낼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4년 전인 2013년 2월25일 취임했다.

박 대통령 측 관계자는 24일 "취임 4주년을 자축할 분위기도 아니고 그럴 여력도 없다"며 "차분하고 조용하게 넘어갈 것 같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을 맞은 2014년 2월25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이듬해 취임 2주년 당일에는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직원조회에 참석해 직원들을 격려하면서 집권 3년차를 준비했다.

취임 3주년을 맞았던 지난해 2월25일에는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찾아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경제의 성과를 점검했다. 그러나 국회의 탄핵소추로 직무정지 중인 올해는 참모진과의 식사 같은 일정도 없이 조용히 탄핵심판 준비에만 매진할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오는 27일 최종변론을 열기로 한 헌법재판소가 박 대통령의 출석 여부를 26일까지 알려달라고 한 터라 이 문제를 놓고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대리인단과 참모들을 비롯한 박 대통령 주변에서도 탄핵사유의 부당함을 국민들 앞에서 직접 호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헌재에 출석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헌재에 출석한다면 재판부와 국회 측 신문을 받아야 한다는 점이 고민이다.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이 헌재에 출석한다는 부담감을 안은 상태에서 국회 대리인단의 집중 공격과 재판부의 송곳 같은 질문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이다.

양승태 대법원장이 다음달 13일 퇴임하는 이정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후임자를 조만간 지명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종변론이 더 늦춰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반면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과 박 대통령 측 법률 대리인단에서는 후임자 지명시 이 대행의 임기에 맞춰 변론을 서둘러 종결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내놓는다.

최종변론을 다음달 2~3일로 늦춰야 한다고 요구했던 박 대통령 측은 내심 연장 가능성을 기대하는 눈치지만 일단 27일 최종변론을 염두에 두고 헌재 출석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