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이른바 '꿈의 항공기(Dreamliner)'라 불리는 보잉 787-9 항공기를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보잉 787-9은 차세대 친환경기로 전 세계에 이름을 날리고 있는데 대한항공의 설계·제작 기술이 녹아있는 항공기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대한항공은 22일(현지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있는 보잉 찰스턴 센터(Charleston Boeing Factory)에서 대한항공 보잉 787-9기 인수식을 가졌다고 23일 밝혔다.
이 행사에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릭 앤더슨(Rick Anderson) 보잉 상용기 동북아시아 세일즈 선임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조원태 사장은 인도식에서 "전 세계의 역량이 응집된 보잉 787-9은 효율적이면서도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첨단 항공기"라고 했다.
이어 그는 "787-9 도입은 대한항공 기단을 한층 젊게 만드는 동시에 세계 항공업계를 선도하는 글로벌 항공사라는 비전을 달성할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잉 787-9은 고객들에게 보다 쾌적한 기내환경을 제공함과 동시 차세대 첨단 기술이 집약된 고효율 친환경 항공기다.
특히 승객이 체감할 수 있는 기내 환경이 대폭 개선됐다. 기존 항공기가 백두산 수준의 기압(8000ft) 수준이었다면 787-9은 한라산이나 지리산 수준(6000ft)의 기압을 유지한다. 습도도 타 항공기보다 5% 이상 높아져 쾌적한 항공 여행을 즐길 수 있다.
항공기 무게 기준으로 탄소복합소재가 50%, 알루미늄 합금이 20%가 사용됐다. 구조적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 무게가 줄어 연료효율이 대폭 개선됐다.
이에 따라 타 기종 대비 좌석당 연료효율이 20% 향상되고, 탄소배출은 20% 저감된다. 이착륙 소음 또한 타 기종 대비 60% 이상 줄었다.
기존 787-8과 비교해도 효율성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787-9의 최대 운항거리는 약 1만5750km로 787-8의 1만5200km 대비 550km 정도 더 멀리 비행할 수 있다. 장착 좌석도 250~290여석으로 787-7보다 30여석 더 많다.
보잉 787-9 제작에 대한항공의 기술력이 살아 숨쉬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대한항공은 후방동체, 중앙동체, 날개, 연장날개, 스트링거(동체지지용 구조물) 등을 직접 설계·제작해 보잉에 공급하고 있다
대한항공이 이번에 인도받은 보잉 787-9 1호기는 현지 최종 테스트를 마친 뒤 오는 24일 국내 도착할 예정이다.
국내에서 무선국 인가, 시범비행 등 필요한 절차를 거친 이후 3월 중순부터 김포-제주노선에 투입된다. 오는 6월부터는 캐나다 토론토 노선으로 첫 국제선 비행을 시작하게 된다.
대한항공은 이번 1호기를 포함해 연내 총 5대의 787-9기를 들일 예정이다. 이 회사는 오는 2019년까지 추가로 5대를 더 도입해 글로벌 선도 항공사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