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현명하신 박근혜 대통령은 헌법재판소 선고 전에 틀림없이 자진사퇴하게 될 것입니다(송현섭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헌법재판소의 박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을 앞두고 전방위적 압박에 나선 민주당의 송 최고위원이 22일 돌발 발언을 했다. ‘명예로운 퇴진론’을 주장하는 새누리당, 바른정당 지도부와 같은 뉘앙스의 언급이다.
송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대통령 변호인단은 변호인단 총사퇴를 운운하지만 하지 못할 것이고 박 대통령도 헌재에 나오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정농단으로 최악의 분열 상태가 된 대한민국을 방치하지 말고 초심으로 돌아가길 바란다”며 “더 이상 국민을 실망시키지 말고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대통령으로서 남으시길 바란다”고도 했다.
송 최고위원 발언은 즉각 묘한 파장을 몰고 왔다. 탄핵 후폭풍을 피하자는 차원에서 최근 범여권을 중심으로 나오는 박 대통령의 ‘자진 사퇴론’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인명진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대통령이 탄핵당해 물러나는 일은 일어나서는 안된다. 명예로운 퇴진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정우택 원내대표도 이날 “정치력으로 (사태를) 풀어야 한다”며 연일 ‘자진 사퇴론’에 군불을 떼고 있다.
송 최고위원의 뜬금없는 발언 이후 민주당 지도부는 ‘단순한 해프닝’이라며 황급히 진화에 나섰다. 한 최고위원은 “우리도 송 최고위원 발언을 듣다가 깜짝 놀랐다”며 “자진사퇴론은 여당이 탄핵을 피하거나 지연시키기 위한 꼼수인데, 우리 당 지도부가 그걸 논의할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다른 최고위원도 “어르신께서 조금 실수하신 것 같다”고 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송 최고위원이 범친문(친문재인)계로 분류되고, 문 전 대표 역시 지난해 11월 명예로운 퇴진을 주장한 점을 들어 민주당 지도부가 박 대통령의 자진사퇴를 받아들이겠다는 신호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송 최고위원은 “왜 그러셨느냐”는 핵심 당직자의 질문에 “내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중도사퇴를 예언했는데, 그대로 되지 않았느냐. 두고 봐라. 박 대통령이 이달 안으로 분명히 사퇴할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