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서울지역 올해 초등학교 입학 취학대상 아동 20명의 소재를 파악 중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최근 초등학교 입학 예비소집에 참석하지 않은 취학대상 아동 262명 가운데 연락이 닿지 않은 56명에 대한 소재 확인을 경찰에 요청했다.
김정훈 서울경찰청장은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내자동 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취학대상 아동) 262명이 예비소집에 응하지 않았다"며 "56명 가운데 36명은 확인을 했고 20명은 소재를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소재 불명 아동에 대해 일일이 대면해 예비소집 불참 사유와 아동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소재가 확인된 아동들의 경우 학대 등 범죄 혐의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 관계자는 "나머지 20명에 대해서도 소재를 파악 중"이라며 "개학 후에도 학교에 보내지 않으면 교육방임 여부에 대한 수사가 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청장은 또 박근혜 대통령 탄핵 찬반단체의 집회와 관련해 "집회시위에 대한 자유는 최대한 보장하지만 불법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엄정조치 하겠다"며 "25일과 3월1일 집회의 경우 경찰병력을 최대한 동원해 불법행위가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경찰은 박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에서 일부 참가자들이 언론사 취재진을 폭행한 사건과 관련해 가해자 일부의 신원을 확인하고 수사 중이다. 지난달 21일에는 YTN 기자가, 지난 11일에는 시사타파·CBS 기자가 집회 참가자에게 폭행을 당했다.
김 청장은 "지난달 21일과 지난 11일 발생한 취재진 폭행 사건 가해자 일부의 신원을 확인했다"며 "특정되지 않은 인물도 추적, 특정해 범인 검거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김정남 피살과 관련 국내 탈북인사 신변보호에 대해선 "탈북인사들이 오면 일정한 기간 단계적으로 신변·안전보호에 나선다"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좀 더 엄격하게 보호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청장은 최근 송파구 살인사건, 용산 지하차도 폭행사건 등 묻지마 폭행에 대한 치안강화도 강조했다.
그는 "범죄 발생 시간·장소의 패턴을 분석해 경찰병력을 배치하고 자율방범대 등 시민들과도 협력해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서울 시내 전체 지하도에 대해서도 관리 주체인 행정기관과 CCTV, 비상벨 설치 등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