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신공항 축소 움직임...부산 시민단체들 강력 반발

입력 2017-02-16 15:37

정부가 김해신공항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하면서 당초 계획보다 규모를 축소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부산시와 시민단체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지역 10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신공항추진범시민운동본부(상임대표 박인호)는 16일 부산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김해신공항을 리모델링 수준의 확장이 아닌 당초 정부 발표대로 연간 이용객 3800만명 규모를 수용할 수 있는 명실상부한 ‘영남권 국제관문공항’으로 건설하라”고 촉구했다.

운동본부는 “정부가 지난해 6월 21일 신공항을 ‘명실상부한 영남권 국제관문공항 건설’을 약속하고도 현재 진행중인 ‘김해신공항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이용객 수를 연간 2800만명 정도로 줄여 신공항 규모를 축소하려 한다”고 지적하고 “신공항 이용객수요를 축소하는 것은 부산시민과 영남지역 주민들의 열망을 배신하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국토교통부로부터 김해신공항 예비타당성조사를 맡은 KDI(한국개발연구원)가 최근 김해공항 이용객의 급격한 증가 추세를 반영하지 않은 채 신공항을 연간 이용객 2500만명이 이용하는 리모델링 수준의 공항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정부당국에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김해공항의 항공수요를 반영해 360만 부산시민과 1300만 영남권 주민들의 염원인 김해신공항을 건설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신공항 건설이 완공될 때까지 현 김해공항 포화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선 여객청사 2단계 확장사업을 조속히 시행하는 한편 영남권주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안에 미국과 유럽을 운항하는 중장거리 노선을 즉시 개설 해 달라”고 요구했다.

운동본부는 KDI의 수요예측이 시정되지 않으면 대규모 집회 등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자유한국당 부산시당 위원장인 이헌승 의원은 지난 13일 국회 국토교통위 전체회의에서 “지난해 6월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 당시 국토부는 향후 연간 이용객 3800만명 규모의 신공항을 건설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 기획재정부 동향 등을 분석해 보면 2800만~2900만명 수준으로 수요가 조정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김해신공항의 수요가 축소 반영될 경우 정부가 사업성을 맞추기 위해 공항 규모나 연계교통망에 대한 투자를 줄일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토부가 당초 발표했던 김해신공항의 기본 구상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KDI의 수요 예측 결과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며 “지난해 발표한 신공항 계획이 충분히 실현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이 맞붙은 영남권신공항 유치전과 관련해 지난해 6월 21일 김해신공항을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당시 발표에 따르면 김해신공항은 현재 6.51㎢(197만평)인 부지를 9.65㎢(292만평)으로 확대하고 길이 3200m의 활주로 1본과 관제탑, 국제선터미널 등을 건립한다. 수용인원은 연간 3800만명(국제 2800만명, 국내 1000만명)으로 총 사업비는 4조1700억원이다. 예비타당성 조사가 끝나면 올 연말까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18년~2020년 기본실시설계와 보상을 거쳐 2021년 착공해 2026년 완공 예정이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