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역사교과서 사용을 희망하는 학교를 다음달 연구학교로 지정해 시범운영하겠다는 교육부 방침이 사실상 물거품이 됐다.
15일 전국 시·도교육청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따르면 국정 교과서 연구학교 지정 신청 마감까지 경북 지역 사립학교인 구미 오상고, 경북 항공고, 경산 문명고 3곳을 제외하고 공립과 사립을 막론하고 연구학교 신청에 나선 학교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 전북 등 대부분 교육청은 “한 건도 없다”고 말했다. 강원도교육청 등은 “연구학교 신청 안내 공문 자체를 발송하지 않아 접수 건수도 없다”고 했다.
서울·경기교육청은 국정 교과서가 오류와 편향 논란에 휩싸여 교과서 선택의 자율성을 침해한다며 국정 교과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연구학교 신청에 나선 항공고와 문명고는 교사와 학부모의 반발에도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교조 관계자는 “항공고는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원 미달로 심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문명고는 교장이 학운위에서 끈질기게 설득해 통과했다”고 말했다. 연구학교 신청 과정에서 의견수렴 절차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전국 시·도교육청은 신청학교 중 연구학교를 지정해 오는 17일 교육부에 보고한다.
하지만 마감일까지 신청에 나선 학교가 극히 적은 데다 교사, 학생, 학부모의 반대가 거세 연구학교는 아예 없거나 손에 꼽힐 정도로 적을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는 오는 20일 국정 교과서 연구학교 신청 및 지정 결과를 발표한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