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에 대한 암살시도는 2012년부터 이뤄졌고, 김정남은 이복동생에게 '살려달라'는 내용의 서신까지 보낸 것으로 밝혀졌다.”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이 15일 국회 정보위원회 긴급간담회에 출석해 김정남 피살과 관련해 이같이 보고했다고 더불어민주당 정보위 간사인 김병기 의원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김 의원 등에 따르면 국정원은 김정남에 대한 암살 시도가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직후인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있었던 것으로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김정남 암살은) 김정은 집권 후 스탠딩 오더,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명령이었다고 한다"며 "2012년에 암살 시도가 한 번 있었고 같은 해 4월 김정남이 김정은에게 '저와 제 가족을 살려 달라'는 내용의 서신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이어 “김정남은 서신에서 ‘저와 제 가족에 대한 응징 명령을 취소해 주기 바란다. 피할 곳도 없고, 도망갈 곳은 자살뿐’이라고 하소연 했다"며 "그러나 북한 정찰총국은 지속적으로 암살기회를 엿보고 있으면서 오랜 노력의 결과가 실행됐다"고 전했다.
국정원에 따르면 김정남은 13일 오전 9시쯤(현지시각) 말레이시아 공항에서 가족들이 있는 마카오로 가기 위해 비행기를 탑승하려고 줄을 서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두 명의 여성이 접근했고, 한 명의 여성이 김정남의 신체에 접촉했다. 독극물 테러를 당한 김정남은 곧바로 카운터에 도움을 요청, 인근 병원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사망했다.
이후 용의자로 추정되는 두 여성은 택시를 타고 도주했다. 말레이 수사당국은 현재까지 이들이 말레이시아를 빠져나가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국정원은 김정남의 한국 망명 시도나 요청에 대해서는 "(김정남이) 망명에 대한 시도는 (이전 정부나 현 정부 시절에도)없었다"며 일부에서 제기한 망명 타진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어 "암살 타이밍은 특별한 의미가 없다. 김정남이 처신에 위협된다는 계산적 행동보다는 김정은의 편집광적 성격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정남의 첫째 부인과 아들은 중국 북경에 머물고 있으며 둘째 부인 이혜경씨와 아들 한솔은 마카오에서 중국 당국의 보호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특히 이번 암살로 인해 국내에 거주중인 북한 인사들에 대한 경호를 강화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박효진 기자 imhe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