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질환은 비정상적인 지방물질인 당지질 대사에 필요한 알파-갈락토시다제(alpha-galactosidase) A(이하 GLA)’라는 효소의 결핍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이 효소가 부족하면 다른 당지질들의 축척을 유발, 신체 내 다양한 세포의 기능저하를 초래하여 심혈관질환, 뇌졸중, 신부전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또한 X 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희귀질환으로 주로 남성에게 나타난다.
지금까지 알려진 GLA 돌연변이 종류만도 700개 정도다. 그런데 이 병을 일으키는 새로운 돌연변이가 국내에서 추가로 발견됐다.
사진) 교수 연구팀이 지난해 초 이 병원을 찾은 김기상(가명·24)씨와 그 가족에게서 지금까지 한 번도 알려지지 않은 파브리병 돌연변이 ‘Ty88Cys’를 발견, 최근 관련 학계에 보고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환자는 원인 불명의 말기 신장질환으로 신장이식수술을 앞둔 형 기용(가명·28)씨에게 신장을 기증하기 위해 검사를 받다가 우연히 파브라병을 유발하는 돌연변이가 있음을 알게 됐다.
검사 중 우연히 발견된 단백뇨로 인해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신장의 사구체 상피 세포들에서 거품 모양의 액포(vacuole)들이 발견된 것이다. 연구팀은 이를 전자현미경으로 재확인했다. 그 결과 파브리병의 특징적 소견에 해당하는 층판소체(zebra body)들이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어 GLA 효소 활성 평가를 통해 이들 형제에게서 똑같이 GLA효소 활성이 감소되는 것도 확인했다. 또 가족 전원의 DNA 염기 서열 분석을 실시, 이들 형제는 물론 어머니에게서도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돌연변이 유전자(Ty88Cys)가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파브리병은 소아청소년기로부터 피부, 신경, 눈, 뇌졸중, 심장병 및 신장병 등이 조기에 시작되어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반면 후발형인 변이형의 경우 증상이 다양하기보다는 심장이나 신장에 국한되어 발생하여, 환자들은 질병이 진행된 다음에 뒤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바로 김기상씨 가족이 이 경우에 해당된다.
정성진 교수는 “파브리병은 다양한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돌연변이 위치에 따라 파브리병의 특징적 양상이 초기에 나타나지 않고 뒤늦게 신장 혹은 심장에만 국한 증상들만 나타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신장내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BMC 메디칼 제네틱스(BMC Medical Genetic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