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직원이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과정에서 기업을 특정해 출연금을 지시한 것은 청와대 최상목 전 경제금융비서관(현 기획재정부 1차관)이었다고 법정에서 증언했다.
이들은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실에서 회의를 4차례 열었고, 최 전 비서관은 미르재단 설립 계획부터 출연기업, 사무실 조건, 이사진 명단 등 재단의 전반적인 사항을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열린 최순실(61)씨와 안종범(58)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11차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전경련 전 사회공헌팀장 이모(41)씨는 “최 전 비서관이 청와대 1차 회의에서 재단에 출연금을 낼 9개 기업을 지정했다”고 진술했다. 이어 “9개 기업을 노트에 받아적은 기억이 분명히 난다”고 말했다.
이씨는 “첫 회의에서 행사계획서를 건네니 최 전 비서관이 행사 준비가 아니라 재단을 설립해야 한다고 했다”며 “1주일만에 300억원 규모의 재단이라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첫 회의가 끝난 뒤 최 전 비서관의 지시 사항을 정리한 ‘한류문화재단 설립 추진계획’을 작성했다고 덧붙였다.
추진계획에는 재단 사무실 조건도 적혀있다. 1순위는 강남권 기업 사옥 내, 2순위는 여의도 전경련 회관 내, 3순위는 역삼동 콘진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 내다.
이씨는 “처음부터 강남권을 강조했고 우선 순위가 높았다”며 “최 전 비서관이 강남·이면도로, 4~5층 건물, 독채로 조건을 말하며 2순위와 3순위는 제외됐다”고 말했다.
재단 이사진 명단도 최 전 비서관을 통해 전달받았다고 진술했다. 이씨는 “최 전 비서관이 문건에 9개 기업 인사들이 이사진에 참여한다는 내용을 보고 대표로 1명 정도만 들어가라고 했다”며 “이사진 명단을 물어보니 본인도 수석께 받아야 한다며 다음날 주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