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1·구속기소)씨의 재판에 청와대 관계자가 처음으로 증인으로 나선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는 13일 최씨와 안종범(58)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11차 공판에서 이수영 전 청와대 행정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박찬호 전무, 이모 전경련 사회공헌팀장의 증인신문을 진행한다.
검찰과 변호인은 이들에게 재단 설립 과정에서 대기업들이 출연금 774억원을 낸 경위, 최씨의 재단 사유화 여부, 최씨와 청와대의 연결고리 등을 신문할 예정이다.
이 전 행정관은 미르재단 설립 과정에서 전경련 관계자와 긴밀히 연락한 인물로 꼽힌다. 그는 안 전 수석과 최상목(54) 기획재정부 1차관(전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으로부터 “문화재단을 빨리 만들어야 하니 전경련과 협의해 챙기라”는 지시를 받고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차관은 검찰조사 당시 “300억원 규모의 문화재단을 즉시 설립하라는 안 전 수석의 지시를 받고 2015년 10월 21~24일 전경련과 함께 회의를 4차례 개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판부는 최 차관을 증인으로 불러 미르재단 설립 과정, 참여 기업 결정을 확인할 예정이었지만 최 차관이 최근 재판부에 불출석 신고서를 제출해 신문이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 2차 공판에서 검찰이 공개한 진술조서에 따르면 신세계 정모 상무는 2015년 10월에 전경련 박 전무를 만나면서 미르재단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정 상무는 당시 검찰 조사에서 “2015년 10월 24일 박 전무가 문화예술 재단을 만들 계획인데 우리 그룹에서 8억원을 출연해 달라면서 참여를 원해 황당했다”고 말했다.
기업 관계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미르·K스포츠 재단 출연금 요구는 예상하지 못한 사업이었다. 이 과정에서 최씨의 구체적인 지시가 무엇이었는지, 전경련의 박 전무와 이 팀장이 최씨와 전 수석의 관계를 어떻게 증언할지 주목된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