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는 12일 “북한이 오전 7시55분 평안북도 구성시 방현 일대에서 불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며 “비행거리는 500여㎞로 추가 정보를 한·미가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군에서 확인한 미사일의 최대 속도와 비행거리를 고려할 때 오늘 발사한 탄도미사일을 노동급 미사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방현 일대에서 동해를 향해 90도 방향으로 틀어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최대고도 550여㎞를 치솟아 500여㎞ 거리를 날아간 점에 미뤄볼 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무수단(사거리 3000㎞ 추정)이 아닌 노동계열 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합참 관계자는 “현재까지 방향, 비행고도, 거리 등으로 봤을 때 노동급으로 추정한다”면서 “하지만 무수단 혹은, 무수단 개량형 등 새로운 미사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이 다른 미사일이라 주장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최대한 안정적으로 설명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내륙에서 발사가 이뤄진 점, 비행거리가 500여㎞인 점을 종합할 때 신형 ICBM의 초기 비행일 가능성은 적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신형 ICBM이라면 첫 발사는 비행 안정성을 위해 내륙에서 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합참은 “오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도발행위”라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과시해 관심을 유도하고 미국 신 행정부의 대북 강경기조에 대응하는 무력시위의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군 당국은 그동안 북한이 방현 구성비행장 일대에서 무수단 미사일을 추가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주시했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16일과 20일 이곳에서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도발을 자제했던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탄생 75주년(2월 16일)을 앞두고 전략 도발을 감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합참 관계자는 “김정일 생일을 앞두고 미사일 능력을 과시해 김정은의 리더십을 회복하거나 내부 체제결속을 도모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미국이 지난 8일 서부 공군기지에서 ICBM 미니트맨-Ⅲ를 시험발사하자 맞불 성격의 도발을 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미니트맨-Ⅲ는 6700여㎞ 떨어진 태평양 마셜 제도 인근에 정확히 떨어졌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