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2일 오전 동해상으로 탄도 미사일로 보이는 미확인 발사체를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오전 7시55분쯤 평안북도 방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불상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비행거리는 500여㎞로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한미가 정밀 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미사일이 어떤 형태의 미사일인지와 몇 발을 발사했는지는 여부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합참 관계자는 "군에서 확인한 미사일의 최대 속도와 비행거리를 고려할 때 오늘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종류는 노동급 미사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동해상을 향해 90도 방향으로 틀어 미사일 1발을 발사했는데 최대고도 550여㎞를 치솟아 500여㎞ 거리를 날아갔다. 이 점을 미뤄볼 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무수단(사거리 3000㎞ 추정)이 아닌 노동계열 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합참의 설명이다.
합참 관계자는 "현재까지 방향, 비행고도, 거리 등으로 봤을 때 노동급으로 추정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무수단 혹은, 무수단 개량형 등 새로운 미사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이 또다른 미사일이라 주장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최대한 안정적으로 설명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내륙에서 발사가 이뤄졌고 비행거리가 500여㎞인 점을 감안하면 신형 ICBM일 가능성은 적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합참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다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도발행위"라며 "미국 신 행정부의 대북 강경기조에 맞대응하기 위한 무력시위의 일환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해 10월16일과 20일 두 차례에 걸쳐 평북 구성시 방현비행장 일대에서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한 바 있어 군 당국은 그동안 이 일대에서 무수단 미사일이 발사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예의 주시해 왔다.
정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에 따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 소집했다. 청와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관련해 NSC 상임위를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북한의 발사체 발사는 사실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국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도발을 자제해왔던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75주년(2월16일)을 앞두고 전략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관측해왔다.
취임 후 거침없는 행보를 보인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일 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12일 낮 12시 35분쯤(한국시간)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두 사람은 플로리다주 팜비치에 있는 트럼프 소유의 휴양지 마라라고에서 기자단 앞에 나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비판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북한 미사일 발사사태와 관련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일본과 미국은 긴밀히 협력하고 지원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북한은 유엔 결의를 완전히 준수해야 한다"며 "나와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동맹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완전히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미국이 위대한 동맹국 일본 뒤에 100% 함께 있다는 점을 모두가 완전히 이해하고 인식하기를 원한다"고 짧게 말했다.
아베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의 공동성명 발표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도발에 따라 예정에 없이 마련된 것이다. 두 사람은 이날 공동성명을 발표한 후 별도의 질의응답없이 자리를 떠났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