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알' 제작진이 2011년 보궐선거 당시 일어난 사이버 공격의 진실을 추적했다.
11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는 '작전 : 설계된 게임 - 디도스 사건의 비밀'편으로 꾸며져 당시 의혹을 조명하는 모습이 방송됐다.
이날 방송에서 제작진은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있던 날인 2011년 10월 26일에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이하 선관위) 홈페이지가 디도스 공격을 받았던 사건을 다뤘다.
당시 투표를 하려고 했던 사람들은 기존의 투표소가 아닌 다른 장소로 안내를 받고 정확한 투표장소를 찾기 힘들었다.
이에 당시 선관위가 받은 공격은 북한의 소행이다라는 언론의 보도가 끊임없이 이어졌고, 이후 한 달 만에 범인이 잡혔지만 범인은 언론의 보도와 달리 20대의 젊은 청년들이었다.
이에 제작진측은 범인들이 범행을 저지르기 전의 목격자인 김목사를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김목사는 "(범인들이) 고급 빌라에 살면서도 아무도 일을 하지 않아 수상했다. 인터넷 사업을 하는데 서울로 영업을 확장하기 위해 왔다고 들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알' 제작진은 범행 당시 범인들이 실제로 사용했던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 디도스 공격을 시도했고, 이로 인해 홈페이지 접속은 가능했지만 투표소를 변경하는 일까지는 불가능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디도스 공격을 하며 박원순 홈페이지를 함께 공격한 것과 선관위같은 공공기관의 서버가 간단한 공격으로 무너졌다는 것에 의문을 품었다.
이에 시민단체는 정보 공개를 요구했지만 선관위는 이를 거부했고, 특검이 출격했지만 결과는 달라지지 않고 공비서와 강대표의 우발적 범행으로 일단락되며 풀리지 않는 여러 의혹을 남긴채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제작진은 이 사건뿐만 아니라 검은 손이 닿았던 다른 사건들이 다수 존재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에 이들은 서울 보궐선거 디도스 공격사건이 일어나기 전인 2011년 4월 27일 김해 재보궐선거또한 의도적인 선거방해 사건이 일어났다는 의혹을 조명했다.
당시 투표가 행해졌던 날 유권자들이 평일 투표로 인해 창원 터널을 이용해 투표를 한다는 점을 노려 선거 방해 공작을 행했다는 폭로가 이어진 것이다.
당시 새누리당 청년위원장으로 근무했던 손 씨는 한나라당 중앙당의 요청으로 김태호 후보캠프 측에 1억원이 전달됐고, 이 돈이 선거 방해 공작을 위해 창원터널 허위공사를 하는 데 쓰였다고 주장했다.
이에 제작진은 당시 돈을 직접 지급한 임씨를 만나려 했으나 그는 이미 사망한 뒤였고, 당시 공사를 지시한 이의 정체는 결국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그것이 알고 싶다'는 현재 시국과 관련해 '대한민국 선거의 현실'과 '민주주의의 진정한 의미'를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이 필요하다라고 말하며 이날 방송을 마무리했다.
김예지 학생기자 dawnh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