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0일 새누리당 소속 김진태 법사위 간사의 반대로 특검법 개정안 합의가 불발된 데 대해 "원내수석부대표간 합의를 토대로 간사들이 합석해 논의하라는 것은 수석간 합의 내용을 구체적 법안으로 어떻게 만들지를 위한 것이지, 간사가 원내대표급 협상자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다"며 김 간사를 비난했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여야 4당 원내대표, 수석간 합의 내용조차 특정 정당의 간사에 의해 저지되거나 막혀있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렇게 하면 원내대표와 수석간 합의가 무슨 소용이 있느냐"며 "간사들은 합의사항을 존중해서 법안을 어떻게 성안할지에 대한 기능적인 노력을 해야지, '나는 죽어도 못한다'고 배째라고 나오면 대화와 타협의 정신은 어디로 가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각당 합의를 법사위 간사가 '죽어도 안 된다', 그런게 어디 있느냐"며 "그러면 정당간 대화정치는 실종된다. 이렇게 되면 여야간 협상도 의미가 없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각당 원내대표와 수석간 합의조차 각당 상임위 간사의 반대로 합의가 안 되면 각당 원내대표 합의로 직권상정해 처리하자"고 주장했다.
한편 우 원내대표는 여권 일각에서 야권 대선후보들의 공공일자리 정책을 '포퓰리즘'이라고 비난하고 있는 데 대해 "국민안전에 필요한 소방공무원을 늘리고, 도둑놈과 사기꾼을 못잡는 지역의 파출소를 늘리고 경찰공무원을 늘리는 게 왜 세금으로 헛돈을 쓰는 것이냐"며 "민간-공공일자리는 병행돼야 하며, 그게 민주당 정책"이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여권의 '탄핵 승복' 주장에 대해서도 언급한 뒤, "탄핵을 결정한 국회의원도 헌법기관이라 헌법적 결정에 승복해야 하며, 헌법기관인 헌재의 결정에 모든 국민의 승복은 당연하다"면서도 "정당이 선언하는 것과 대선주자들에게 왜 승복하지 않느냐고 압박하는 것은 차원이 다르다. 모든 문제에 대해 입장을 밝히는 것은 대선전략의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