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 난시와 같은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시력교정술로는 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등이 있다. 이는 2030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나이가 더 들어 노안이나 백내장이 생겼을 경우에는 이를 함께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야 시력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레이저 수술인 라식, 라섹과 달리 렌즈삽입술은 눈 속에 특수렌즈를 삽입해 시력을 교정하는 것으로 -9디옵터가 넘는 초고도근시나 얇은 각막, 각막 이상 등의 이유로 라식, 라섹이 불가능한 경우 적합하다.
렌즈삽입술은 각막을 건드리지 않고 인체친화적인 특수렌즈를 눈 속에 삽입하는데, 렌즈가 삽입되는 위치해 따라 전방(알티플렉스) 및 후방(아쿠아ICL) 렌즈삽입술로 나뉜다. 라식, 라섹수술 조건이 안 된다고 모두 가능한 것은 아니며, 렌즈 삽입 공간이 충분한지 UBM 검사로 안전성을 따져본 후 가능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최근에는 미국 STAAR 사의 아쿠아ICL 렌즈가 개발되면서 렌즈삽입술 전 홍채에 구멍을 뚫는 홍채절개술 과정 없이도 수술이 가능해져 부작용의 가능성을 더욱 줄이고 수술기간이 단축되는 등 환자 편의가 증대되었다.
40대 이후 근거리 시력이 불편해지는 ‘노안’이 생겼다면 시력교정 방법은 달라진다. 프레스비아(Presbia) 노안 렌즈삽입술은 육안으로 거의 보이지 않는 마이크로 렌즈를 눈 속에 삽입해 원거리를 유지하면서 근거리 시력을 개선한다. 또한 렌즈 자체에 도수가 있으며, 시력회복 및 일상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백내장’이 생긴 경우에도 수술방법은 달라진다. 백내장은 50대 이후 노화로 인해 수정체에 혼탁이 생겨 시력저하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노안 렌즈삽입술과는 달리 인공수정체 렌즈를 삽입한다. 종류로는 크게 단초점, 다초점 수술로 나뉘어지며,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꺼려질 수 있으나 초기 백내장은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나 수술이 불가피하다.
백내장은 65세 입원성 질환 1위로 빈번한 수술인 만큼 세계적 수준의 고품질 인공수정체가 다수 개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의 초음파 장비를 넘어선카탈리스 레이저가 등장함으로써 더욱 정교하고 결과 좋은 백내장수술과 시력개선이 가능해졌다.
이종호 서울밝은세상안과 대표원장은 “나이나 눈 상태에 따라 시력교정 방법은 달라질 수 있으나 렌즈삽입술은 각막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반영구적 교정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하지만 눈 안에 특수 렌즈를 삽입하는 만큼 의료진의 임상경험이 중요하며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는 만큼 사전 검사를 통해 적합 여부를 신중하게 알아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