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겹살 먹을 때 "샐러리·미나리 곁들이고 계피·딸기로 후식"

입력 2017-02-09 12:12

삼겹살이나 쇠고기, 생선, 소시지 등을 조리할 땐 샐러리나 미나리 양파 상추 등을 곁들이고 계피나 홍차 딸기 등을 후식으로 먹는 것이 좋겠다. 발암 물질인 ‘벤조피렌’이 몸 속에서 일으키는 독성을 낮춰 주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채소, 과일 등 섭취가 벤조피렌의 체내 독성과 발암성에 미치는 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벤조피렌은 구이류(생선, 육류), 식육가공품, 훈제건조어육 등을 조리할 때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대표 물질이다.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1급 발암 물질이다.

 안전평가원은 벤조피렌 생성이 높은 삼겹살 등과 주로 함께 섭취하는 깻잎 상추 마늘 등 채소류 13종, 후식으로 먹는 딸기 사과 계피 홍차 등 과일·차 7종,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품 유래 성분 27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실험은 벤조피렌을 넣은 인간 간암세포에 식품 20종과 식품 유래 성분 27종을 각각 넣은 후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율(세포 생존율 변화)과 발암성 억제 효과를 측정했다.

 그 결과, 세포 생존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수준인 벤조피렌 체내 독성 저감율 15% 이상 식품은 총 7종이었다. 채소로는 샐러리(20.88%) 미나리(18.73%) 양파(18.12%) 상추(15.31%)와 후식으로 계피(21.79%) 홍차(20.85%) 딸기(18.76%)였다.

 또 벤조피렌 독성 저감율이 15%을 넘는 식품 유래 성분은 양파 속 퀘세틴(36.23%) 엉컹퀴 속 실리마린(29.59%) 강황 속 커큐민(28.35%) 마늘 속 미리세틴(23.97%) 쑥 속 타마리세틴(22.98%), 계피 속 유제놀(18.61%) 상추 속 캠퍼롤(17.48%) 사과 속 아스코르빈산(16.26%) 등 총 8종이었다.

 이들 식품 7종과 성분 8종은 발암 가능성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식품은 상추(60%) 홍차(45%) 양파(40%) 샐러리(20%) 순으로 발암 억제 효과가 컸다. 성분의 경우 미리세틴(65%) 아스코르빈산(50%) 캠퍼롤(45%) 순으로 높았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